평창동계올림픽 한ㆍ일 분산 개최 “당신의 선택은?”

입력 2014-12-12 15: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18 평창동계올림픽 분산 개최 찬성 혹은 반대)

2018 평창동계올림픽 분산 개최를 놓고 찬반양론이 뜨겁다.

지난 8일(한국시간) 모나코 몬테카를로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임시총회에서는 올림픽 개혁안 ‘아젠다 2020’이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아젠다 2020’은 올림픽 유치 과정 간소화, 국가 간 올림픽 분산 개최, 올림픽 종목 탄력 채택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IOC의 올림픽 개혁안으로 지난해 9월 IOC 수장으로 취임한 토마스 바흐 위원장의 핵심 사업이기도 하다.

문제는 올림픽의 복수 국가(도시) 개최가 가능하게 된 부분이다. 즉 단일 도시 개최를 원칙으로 하던 올림픽을 여러 (국가)도시에서 분산 개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결국 IOC가 직면한 ‘올림픽 위기(과다한 지출로 올림픽 유치 도시가 빚더미에 앉거나 유치 자체를 포기하는 현실)’를 돌파하기 위한 포석이 깔려 있다.

특히 바흐 위원장은 지난 6일 IOC 집행위원회를 마친 뒤 “IOC 총회에서 ‘아젠다 2020’이 확정되면 2018년과 2020년 동ㆍ하계 올림픽을 치르는 한국과 일본이 일부 종목을 분산 개최할 수 있다”고 밝혀 이미 물밑에서 구체적인 얘기가 오갔음을 짐작케 했다.

이로써 2년여 앞으로 다가온 평창동계올림픽은 때 아닌 분산 개최와 단독 개최를 놓고 뜨거운 설전이 펼쳐지고 있다. 그러나 평창동계올림픽 분산 개최는 실리와 명분, 올림픽 정신, 그리고 국민 정서라는 민감한 사안 걸쳐 있는 만큼 첨예한 대립이 예상되고 있다.

현재까지 정황을 정리하면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는 세 가지 방향으로 쪼개진다. 평창 단독 개최와 한·일 분산 개최, 그리고 국내 분산 개최다.

우선 IOC는 실리 쪽에 무게중심을 두며 한·일 양국의 분산 개최를 유도하고 있다. 여기에 국내 환경단체와 일부 시민단체가 IOC의 분산 개최론을 지지하고 있는 모양새다. 썰매 종목을 일본에 내주는 것만으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2020 도쿄올림픽의 협상 명분을 갖추게 돼 실리를 추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도시와의 분산 개최도 조심스럽게 재기되고 있다. 서울과 전북 무주의 기존 시설을 활용하면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무주는 1997년 동계유니버시아드대회를 위해 건설한 활강경기장을 보유하고 있어 가리왕산 활강경기장 건설로 인한 환경파괴도 막을 수 있다.

반면 한국 정부와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는 분산 개최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비용 절감 효과가 크지 않을 뿐 아니라 썰매 경기장 공사를 이미 착공한 상태여서 시기적으로 늦었다는 것이다. 또 분산 개최로 인한 이동 불편, 시공업체와의 계약 파기에 따른 경제적 손실도 적지 않아 분산 개최 가능성을 일축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2011년 남아공 더반에서 평창올림픽 개최에 합의한 서명 당사자는 강원도인 만큼 최종 결정은 강원도가 하게 될 것”이라며 평창 단독 개최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러나 최근 IOC의 올림픽 개혁안이 통과되면서 실리를 찾아야 한다는 여론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특히 경기장 건설로 인한 막대한 비용과 사후 관리, 그리고 환경파괴 등 온갖 마찰로 인해 대회 준비에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 같은 개혁안에 더욱 무게중심이 쏠리고 있다. 결국 정부나 조직위는 여론 동향을 주시하면서 실리를 택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박성희 한국외대 국제스포츠레저학부 교수는 “분산 개최는 평창동계올림픽의 과정과 명분을 깡그리 무시하는 처사다. 사실상 말이 되지 않는다. 2020년 도쿄올림픽의 국내 개최가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평창올림픽의 개최권을 넘겨준다는 건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다. 일본과의 분산 개최를 논하기 전에 우리가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를 따져보는 게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