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마라톤엔 한때 숙명의 라이벌이 있었다. 이들의 목표는 올림픽 금메달이었다. 1970년생 동갑내기인 둘은 친한 친구였지만 서로를 넘어야 했다. 1990년대 한국 마라톤 중흥을 이끈 황영조와 이봉주(이상 45)다.
하지만 두 사람의 라이벌 관계는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은 둘의 운명을 갈라놓았다. 황영조는 몬주익 언덕의 기적을 연출하며 고 손기정(1936년 베를린올림픽) 옹에 이어 56년 만에 조국에 금메달을 안겼다. 반면 이봉주는 무릎 부상으로 올림픽 출전이 무산됐다. 당시 TV를 통해 황영조의 역주를 지켜본 이봉주는 황영조를 축하해줄 수 없었다.
황영조 시대다. 전 국민적 영웅이 된 황영조는 1994년 히로시마아사안게임에서도 금메달을 따내며 독보적 행보를 이어갔다. 그때 이봉주에겐 슬럼프가 찾아왔다. 처음이자 마지막 슬럼프였다. 어쩌면 황영조가 있었기에 이봉주의 질주 본능이 살아났을 지도 모른다.
이봉주의 날개는 오랜 시간 시련과 고통 속에서 조금씩 그 모습을 찾아갔다. 라이벌 황영조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을 앞두고 은퇴를 선언했다. 그의 나이 26세였다. 반면 이봉주는 올림픽 금메달을 목표로 쉼 없이 달렸다. 비록 3초 차 아쉬운 은메달이었지만 한국 체육사에 영원히 남을 값진 은메달이었다. 그에게 더 이상 4년 전 설움은 남아 있지 않았다. 이봉주 시대의 서막이었다.
이봉주는 1998년 방콕아시안게임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했고, 2000년에는 시드니올림픽 출전 티켓이 걸린 일본 도쿄국제마라톤에서 2위를 차지하며 2시간7분20초의 한국 신기록을 수립했다. 이 기록은 15년이 지난 지금도 불멸의 기록으로 남아 있다.
비록 시드니올림픽에선 15㎞ 지점에서 넘어져 2시간17분57초로 24위에 그쳤지만 포기하지 않고 완주했다. 이듬해인 2001년 보스턴마라톤대회에선 다시 한 번 건재함을 과시하며 우승컵을 들었다.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에서는 방콕 대회에 이어 아시안게임 2연패를 달성했다. 아시안게임 마라톤 2연패는 이봉주가 유일하다. 그것으로 끝이 아니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과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도 이봉주는 태극마크를 달고 달렸다. 2007년 동아마라톤에서는 37세의 나이로 정상에 섰다.
어느덧 마흔하고도 한살이 된 ‘봉달이’는 자신의 41번째 풀코스 도전이자 마지막 역주를 준비했다. 2009년 대전에서 열린 전국체전이다. 이봉주는 이 대회 우승을 끝으로 자신의 마라톤 인생에 마침표를 찍었다. 20년 동안 41번의 마라톤 풀코스 완주와 올림픽 4회 연속 출전, 그리고 불멸의 한국기록이 그가 남긴 발자취다. 평발에 짝발이라는 치명적인 핸디캡마저 극복해버린 ‘국민마라토너’ 이봉주. 그의 역주는 늘 감동으로 다가와 가슴을 먹먹하게 했다.
올해 2월은 이봉주의 한국 신기록 수립 15주년이다. 그래서인지 그의 42.195㎞ 인생 드라마는 더욱 더 강렬한 울림으로 우리 가슴 속을 요동치고 있다. 누구나 핸디캡은 있다고. 세상이 변했어도 정신력은 잃어선 안 된다고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