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는 23일 최고위원회의 이후 조강특위 임명장 수여식에 앞서 예정에 없던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정현안 제일 시급한 노동시장 활성화·유연화 등 모든 것을 담고 아까 말씀드린 대로 불공정거래행위를 진정시키고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특위를 만들기로 했다”며 “특위 이름을 ‘노동시장 선진화 특위’로 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중소기업 비정규직 근로자는 34.6%밖에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 점점 더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면서 “대중소기업간 불공정한 구조 고용형태에 따른 각종 차별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임금·소득격차가 지속되면 우리 사회 통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우리 경제 활성화도 크게 저해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했다.
김 대표는 전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도 “노동개혁은 피할 수 없고 또 피해서도 안 될 그런 국가적 과제”라며 “우선 노동계 와 대화채널을 구축하고 의견을 듣는 노력부터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오후 한국노총 천막농성장을 방문해 노사정위원회에 조속한 복귀를 요청했다.
그는 한노총을 향해 “일방적으로 우리가 노동계 양보만 강요할 것이 아니라 국제적으로 어려운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인가 한층 고민해야 한다”며 “정부 주장만 할 수 없는 문제고 노동계만 할 수도 없다. 정치권에선 양쪽 설득하면서 절충해야 된다”고 설득했다.
김 대표는 또 이날 저녁 국무총리 공관에서 열린 고위 당·정·청에 참석해서도 청와대와 정부를 향해 “노동개혁을 비롯한 4대 구조개혁, 추경 처리와 경제활성화 법안 등 국가적 현안이 산적해 있다”면서 “신중을 기하되 결기를 갖고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의 이 같은 ‘노동개혁’ 광폭행보에는 그간 유승민 사퇴 정국으로 얼어붙었던 청와대와의 관계회복 의도가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공적연금 때와 마찬가지로 정부가 난항을 겪고 있는 사안에 해결사를 자처하면서 당청관계는 자연스럽게 가까워지고, 당내 불거진 계파 갈등을 봉합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