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만 넘어선 1인 가구, 경제적 문제는…

입력 2015-08-16 12:32수정 2015-08-16 16: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령층 소득불안- 젊은층 집세고민

1인 가구가 올해 500만을 넘어선 가운데 고령층 1인 가구는 소득 불안에 시달리며 젊은층은 집세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광석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16일 '싱글족(1인 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60대 이상 1인 가구는 소비성향이 축소되고 근로 안정성이 가장 취약하다고, 20·30대는 전·월세 보증금 부담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중되고 월세 임차료 지출 규모도 상대적으로 크다고 각각 분석했다.

1인 가구는 2000년 226만가구(전체 가구의 15.6%)에서 올해 506만가구(26.5%)로 불어난데 이어 2035년에는 763만가구(34.3%)로 세 집에 한 집꼴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0년과 2014년 1인 가구의 경우 전체 소비성향은 상승했는데도 60대 이상에서는 떨어졌다.

20·30대 1인 가구의 평균 소비성향은 2010년 66.1%에서 2014년 73.6%, 40·50대는 57.7%에서 64.7%로 상승했지만 60대 이상은 90.5%에서 84.5%로 하락한 것이다.

다른 연령대는 소득 증가폭보다 소비 증가폭이 컸지만 60대 이상 1인 가구는 소비 증가폭이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1인 가구의 월 가처분소득을 보면 지난해 60대 이상은 84만원으로 20·30대(193만원), 40·50대(201만원) 중 가장 작았으며 때문에 60대 이상 가구의 소비에서는 필수재 비중이 컸다.

1인 가구의 소비지출액 중 식료품 지출 비중을 보면 60대 이상은 2010년 23.2%에서 2014년 23.6%로 상승했다.

반면 20·30대는 8.4%에서 8.5%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고 40·50대는 13.9%에서 13.0%로 오히려 하락했다.

소비지출액 중 주거비 비중은 60대 이상이 같은 기간 22.6%에서 24.2%로 1.6%포인트 올라 20·30대의 0.6%포인트(17.8→18.4%), 40·50대의 0.1%포인트(17.8→17.9%)보다 가파른 상승폭을 나타냈다.

60대 이상 1인 가구의 취업자 비중도 지난해 32.0%에 불과했다. 20·30대 78.3%, 40·50대 80.1%보다 크게 낮았다.

60대 이상은 취업한 상태여도 근로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60대 이상 1인 가구에서 임시·일용 근로자 비중은 66.0%로 1인 가구 전체 평균(40.0%)보다 26%포인트 높았다.

반면에 주거 문제에선 자가 비중이 낮은 20·30대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1인 가구 중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23.1%로 40·50대(37.3%)나 60대 이상(63.3%)보다 적었다.

20·30대 1인 가구의 전·월세 보증금 부담은 2010∼2014년 연평균 8.3% 증가해 40·50대(5.5%), 60대 이상(1.9%)의 증가 속도보다 빨랐다.

월세 임차료 부담 역시 20·30대 1인 가구는 지난해 기준 월평균 28만원으로 40·50대(24만원), 60대 이상(17만원)보다 컸다.

김 선임연구원은 "고령층 1인 가구의 근로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재취업 일자리를 늘리고 공공 근로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며 "20·30대 1인 가구에 맞춘 초소형 공공 임대주택 공급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