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수색, 어머니 가슴속으로 흐르는 무늬>로 제27회 동인문학상을 받은 소설가 이순원(李舜源 · 57). 하지만 마냥 기뻐할 수만은 없던 그였다. 아버지로 인해 겪은 유년시절의 상처와 어머니의 아픔에 대한 이야기가 담긴 소설이었기 때문이다. 아버지에게 죄송스러웠지만 그럴수록 전화 한 통 드리는 게 더 어려웠다. 무거운 마음으로 지내던 어느 날 아버지에게서 연락이 왔다. 좀 다녀가라는 것. 아버지의 얼굴을 바로 마주할 자신이 없었기에 그는 조금 천천히 다가갈 길을 택했다. 아들 상우와 함께.
글 이지혜 기자 jyelee@etoday.co.kr
대관령 꼭대기에서 아버지 집까지는 50리(약 20km). 차로 가면 30분이 안 걸리지만, 걸어서 가자면 네다섯 시간은 걸어야 하는 거리다. 그 길을 초등학교 6학년인 큰아들 상우와 걸어서 가기로 한 것이다. 아내와 둘째 아들이 차를 타고 가서 먼저 아버지를 달래 드리는 동안 그도 속죄하는 마음으로 그 길을 걸어가고자 했다.
“아이와 길을 걷다 보니 집에서는 하지 못했던 다양한 대화가 오갔어요. 식탁이나 소파에 앉아 어떤 목적성을 가지고 하는 대화보다 훨씬 풍부하고 자연스러운 이야기를 할 수 있었죠. 내가 아버지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듯 아들도 나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을 거고, 내가 아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듯 아버지도 내게 하고 싶은 말씀이 있을 거 아녜요. 오랜 대화를 하다 보니 아들의 생각도 아버지의 마음도 이해가 되더라고요.”
덕분에 그는 한결 편안해진 마음으로 아버지를 만날 수 있었다. 단 하루였지만 훌쩍 성장한 아들의 모습에 가슴이 뿌듯하기도 했다. 그날의 경험을 쓴 소설이 바로 <아들과 함께 걷는 길(1996·이순원 저)>이다. 그는 많은 아버지들이 아이들과 대화를 통해 자신이 느낀 감정을 공유할 수 있기를 바라며 이 책을 권한다.
“대부분의 가정이 엄마와는 대화가 되는데, 아버지와는 필요한 말만 하잖아요. 어떤 문제가 생겨야 이야기를 하는데 그마저도 남편들은 아내에게 미루게 되고요. 대화도 훈련이거든요. 자주 하려고 노력해야 하는데, 처음에는 서먹하고 어려울 수 있겠죠. 그럴 때는 대관령 옛길처럼 함께 오래 걷는 길을 가보세요. 걱정은 말고요. 일단 길 위에 서면 대화는 자연히 이루어지니까요.”
길 위에서 배우는 인생의 희로애락
실제 이야기를 토대로 썼지만, 순서는 새롭게 짰다. 대관령 굽이의 길이에 따라 긴 굽이에는 긴 대화를, 짧은 굽이에는 짧은 대화를 풀었다. 그는 길고 짧은 굽이가 모여 긴 대관령 옛길이 이어지듯 우리네 삶도 이런저런 일들이 모여 인생을 이룬다고 했다.
“책을 보면 아들이 한 굽이를 걷다가 ‘이 굽이는 짧다’며 좋아하죠. 거리는 정해져 있는데 이번 굽이가 짧다고 해서 걸어야 할 게 줄어드는 것은 아니잖아요. 짧은 굽이가 있으면 긴 굽이가 있게 마련이죠. 험한 길이 있으면 편한 길도 있고요. 인생의 희로애락처럼 말예요. 또 어떤 굽이를 갈 때는 아이가 뛰어서 가보자고 하죠. 그렇게 두 굽이를 달리다가 결국 발이 미끄러져 다쳤잖아요. 먼 길을 가야 하는데 고작 두 굽이를 빨리 왔다고 좋아할 일이 아니죠. 인생도 그래요. 빨리 이루고 싶은 욕심에 조급해하기보다는 멀리 보고 꾸준히 걸어가야 해요. 상우도 그런 경험을 통해 인생의 굴곡을 어느 정도는 이해했을 거예요.”
상우가 대관령 옛길에서 인생의 깨달음을 얻은 것처럼 그에게도 무언의 가르침을 준 길이 있다. 중학생 시절 등굣길에 있던 오솔길이다. 핑계를 대고 학교를 가지 않으려던 때였는데 그의 어머니는 아들의 가방을 들고 먼저 오솔길을 향했다. 길 양옆으로 무성하게 자란 풀에는 주렁주렁 이슬이 맺혀 있었는데, 어머니는 아들의 옷이 젖기라도 할까 봐 말없이 이슬방울을 툭툭 털어내며 앞장서 걸어가셨다. 그 모습을 바라보며 느낀 어머니의 사랑은 그의 인생에 큰 교훈과 원동력이 되었다. 아들 상우에게는 ‘엄마 책상’이 그런 가르침을 주었다. 책에서 아들이 “나는 엄마가 엄마 책상을 가지고 있는 게 참 좋아요”라며 “친구들 집에 가도 엄마 책상이 없는 집이 더 많아요. 아뇨, 거의 다 없는 것 같아요”라고 하는데, 그런 현실이 늘 안타까운 그다.
“여자는 결혼하면서 장롱, 냉장고, 세탁기 등 많은 것을 준비해요. 그런데 정작 책상은 생각을 안 하죠. 식탁이나 화장대에 앉아 책을 볼 수도 있겠지만 책상이라는 것은 자아의 성역이라고 생각해요. 그런 점에서 누구에게나 책상은 중요하죠. 어질러진 책상이라도 아이들이 책상에 앉아 있는 엄마의 모습을 보고 자라는 것이 정서적으로도 좋고, 산교육이 되죠. 아내가 일본어를 독학하겠다고 한 적이 있어요. 그런 도전도 책상이 있으니까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아내가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남편이 아내에게 액세서리가 아닌 예쁜 책상을 선물해준다면 좋겠어요.”
책에 나온 아이, 그 이후
책이 나온 지도 19년이 흘러, 올해 32세인 상우는 결혼을 앞두고 있다.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릴 만큼 유명했던 소설인지라 상우의 별명은 예나 지금이나 ‘책에 나온 아이’다. 가정의 달이면 상우와 인터뷰하자는 요청이 있었지만, 아이의 정서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까 염려한 그는 동반 인터뷰는 거절해왔다. 어른이 된 상우도 그때 아버지의 결정에 고마움을 표하고 있다.
“아들은 그때 통제를 잘해주었다며, 어리지만 세상사에 대해 아버지와 대화를 나눴다는 것을 좋게 기억하죠. 그 이후로는 상우랑 대관령을 걸어보지는 못했어요. 대신 평상시에 대화를 많이 하는 편이죠. 나중에 군대를 제대한 둘째 아들이랑 그 길을 걸었는데, 감회가 새로웠어요. 자녀가 어른이 되면 차곡차곡 가방에 짐 싸주듯이 대화를 하는 게 아니라 더 폭넓고 인문학적인 이야기를 할 수 있더라고요. 그런 순간을 기다리기도 했죠. 아직은 내 품에 있을 때 다시 그 길을 아이들과 걸을 수 있다면 참 좋겠어요. 아들도 언젠가는 자기 아들과 그 길을 걸을 날이 오겠죠?”
<이순원 소설가가 추천하는 선물 도서>
1. 배우자에게: <걷기 예찬> 다비드 르 브르통 산문집
이것은 그냥 걷기에 대해 안내하는 책이 아니다. 우리가 자연과 함께 사색하며 가슴 뿌듯한 기쁨을 안고 걷는 걸음걸이에 대한 철학과 인문학이 담겨 있다. 책도 읽고 아파트 단지 한 바퀴라도 배우자와 함께 자연을 벗 삼아 걷는 것은 어떨까.
2. 자녀에게: <삼국지>
얘들아, 그 어떤 책보다 재미있는 책이 좋지. 삼국지는 재미있으면서도 세상에 대해 또 수많은 사람의 유형에 대해 얘기하는 책이란다. 읽다 보면 사람들이 왜 이 책을 다섯 번도 읽고 열 번도 읽는지 알게 되지.
3. 친구에게:<코스모스> 칼 세이건
여보게, 이 책은 참 오래전에 나온 책이야. 요즘 우리가 사는 모습 참 각박하지. 하늘 한번 바라볼 틈도 없지. 그럴 때 이 책을 펼쳐보시게. 지금 자네가 고민하는 것, 그 고민을 말끔하게 해소해 주지는 못해도 그게 우리 가슴안의 참 작은 일이라는 걸 깨닫게 하지. 나이 들수록 이 세상만 보지 말고 우주를 쳐다보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