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걸음마’ 한국 AI 산업화 팔 걷어부친다…추진단 발족

입력 2016-03-14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R&D 자금 규모 200억원 이상으로 확대

정부가 인공지능(AI) 응용ㆍ산업화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한 추진단을 출범시켜 지원을 강화하고 관련 규제도 과감히 푼다는 방침이다. 최근 이세돌 9단과 AI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간 세기의 대국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전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정부도 AI 분야를 적극 육성하기로 한 것이다.

이관섭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은 14일 오후 서울 코엑스에서 산학연 전문가들과 인공지능 응용ㆍ산업화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정부가 그동안 적극 지원해 온 로봇, 자율주행차, 드론 등의 분야와 함께 앞으로 시장전망이 밝은 스마트공장, 보안서비스, 의료지원서비스 등에서 인공지능의 응용ㆍ산업화를 적극 지원키로 했다. 또 시스템반도체, 센서, 고성능 영상인지장치 등 업스트림 연관산업의 연계기술개발에도 힘쓸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 ‘인공지능 응용ㆍ산업화 추진단’을 설치하기로 했다.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추진단은 앞으로 5년간 인공지능 응용과 산업화에 필요한 기술개발ㆍ사업화 과제를 발굴하고 기획하는 업무를 맡게 된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에 기반한 파일럿(Pilot) 제품 개발과 테스트를 지원하고자 기존 로봇, 자율주행차, 드론분야에서 지원해온 연간 130억원 규모의 기술개발 자금 규모는 산업기술진흥 및 사업화촉진기금 등을 통해 연간 100억원을 더 추가해 200억원 이상으로 대폭 확대한다.

인공지능 응용분야 석박사급 고급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전국 주요 대학의 우수 연구팀을 선발해 5~10년간 산업화 원천기술 연구개발 자금을 연간 5억원 규모로 지원할 계획이다. 각계각층으로 구성된 ‘인공지능 산업화 민간자문위원회(가칭)’도 발족해 인공지능 확산에 따른 고용감소 우려와 인공지능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등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적 공감대를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다른 나라들도 아직은 인공지능의 응용ㆍ산업화 초기단계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산업계의 인공지능 활용이 촉진되기 위해선 연구개발(R&D), 인력양성, 인프라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는 상당 수준 개발된 데 반해 신경모사형 컴퓨팅ㆍ칩 등 하드웨어는 선진기업들도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에 중장기 관점에서 R&D지원 확대하고 산업수요에 맞는 고급인력을 양성하는 한편, 체계적인 창업지원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응용분야에 있어서도 회피, 영상인식 등 약한 수준에서 지능형 정보기술이 개발‧ㆍ활용되고 있지만 고도화된 인공지능의 응용ㆍ산업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됐다. 제조용로봇, 청소로봇 등에는 국내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나, 스스로 학습능력을 갖는 인공지능의 로봇분야 응용이나 산업화는 미진한 상황이다. 파일럿 제품 개발과 상용화 테스트 지원을 확대해 사업화 가능 분야부터 초기시장을 창출해 나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자율주행자의 경우에는 구글은이사람의 운전을 배제한 완전자율차(Level 4)를 추구하는 등 대부분 완성차기업이 오는 2020년까지 Level 3 수준의 자율주행차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지속적으로 테스트베드를 확충하고 관련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전세계적으로 초기연구 진행 중인 드론의 자율비행 분야는 상용화 테스트 환경 조성, 정부 기술개발 확대, 민간투자유인책 등이 요구됐다.

이관섭 차관은 “인공지능 기술의 완성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향후 인공지능 기술의 상용화와 여타 산업부문으로의 확산이 보다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앞으로도 업계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신시장 창출과 함께 시스템반도체, 센서 등 소자산업의 신수요를 선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