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정책으로 시작된 뉴스테이가 전업계로 확산되면서 건설사는 물론 은행권, 통신사에서도 공급에 나서고 있다. 정비사업 진행이 정체된 곳을 비롯해 채산성이 떨어지는 영업점, 전화국의 통폐합으로 유휴부지로 전락한 부지를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달 11일 하나금융그룹은 전국 60개 지점에 1만가구 규모의 뉴스테이를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은행 통폐합으로 늘어난 유휴부지를 활용해 뉴스테이를 공급, 새로운 수입원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서울 신설동 등 주요 도심지역에 올해 3200가구, 내년 2500가구를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통신사인 KT 역시 지난 7일 기자 간담회를 열고 기업형 임대주택 브랜드 론칭을 알렸다. 100% 자회사인 KT 에스테이트(estate)를 앞세워 입지여건이 양호한 KT의 전화국 부지와 나대지 등에 2020년까지 1만가구의 ‘도심형 임대주택’을 공급할 방침이다.
무엇보다도 사업 속도가 지지부진한 재건축·재개발 조합은 정부가 추진하는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을 통해 사업속도에 박차를 가하려고 한다. 지난 2월 17일 국토교통부가 공모한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에는 27개 정비구역이 참여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용적률 인센티브가 주어지고 신속한 행정절차 이행 등 지자체의 지원이 허용되기 때문이다.
조합관계자는 “뉴스테이와 연계할 경우 용적률이 높아져서 사업성이 더 좋아질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낙관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뉴스테이를 만능해결열쇠로 보는 시선에 대해 우려 섞인 반응이다. 뉴스테이가 공급되는 지역에 공실률 우려 없는 임대전망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여전히 사업장이 답보상태에 놓일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임대료가 중산층이 수용할 수 있는 적정수준이 돼야한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달 초 서희건설은 ‘일산2재정비촉진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수주, 뉴스테이 연계형 방식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난 2007년 재정비촉진구역으로 지정된 해당 사업장은 3000여가구가 넘는 초대형 단지였지만 10년 가까이 사업 진척을 보이지 않았다.
이에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으로 사업을 새롭게 추진하는 소식이 들렸지만 임대리츠를 설립할 신탁사가 한 달 넘게 정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유휴부지를 활용, 도심형 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는 은행과 통신사에 대해서도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도심지역에 공급되는 만큼 임대료가 높게 책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하나은행은 신설동역 오거리에 자리 잡고 있는 신설동지점을 허물고 170호 규모의 뉴스테이를 공급한다. 이곳은 1~2인 가구용 공급면적 17~35㎡ 규모로 공급될 예정이다. 월 임대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인근 시세가 50만원부터 100만원에 달한다.
전화국 부지를 활용해 기업형 임대주택 공급을 밝힌 KT 에스테이트 역시 임대료가 높게 책정될 것이란 분석이다. 땅값 비싼 도심에 짓다보니 임대료는 자연스럽게 올라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강태욱 우리은행 부동산 자문위원은 “하나은행 신설동지점의 경우 원룸규모로 공급되는데다 시세가 비싸다 보니 월세가 높게 책정될 것이기 때문에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라며 “다만 물량이 소규모이기 때문에 초기 사업리스크가 낮은 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