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화 칼럼] 超생산 사회에서 超신뢰 사회로

입력 2016-04-25 10: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민화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

초융합의 디지털 사회는 초생산성 사회인 동시에 초위험 사회이기도 하다. 과학기술과 경제사회와 인문이 융합해 초생명화하는 미래의 디지털 사회에서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융합으로 최적화된 세상을 만들 것이다.

그러나 빅데이터에는 빅 브라더의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 집중된 빅데이터는 만약의 경우 의도적, 비의도적으로 세상에 가치를 오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과거 산업사회의 권력 집중형 신뢰 시스템은 미래에는 극도로 위험하다.

이제는 사회적 신뢰가 한국은행권과 같이 한 군데 집중화된 통제하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분산된 구조로 재편되어야 하는 이유다.

이러한 분산된 사회적 신뢰를 만드는 기술이 비트코인으로부터 비롯된 블록체인 기술이다. 모든 거래내역을 모든 참여자가 알 수 있게 하는 분산된 거래 시스템에서는 원천적으로 장부 조작이 불가능하다. 모든 거래 기록이 모든 참여자에게 남아 있어, 거래 기록 조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P2P(peer 2 peer) 방식의 분산된 신뢰는 미래 디지털 사회의 사회적 자산의 초석이 될 것이다. 원천적으로 비리를 차단할 수 있다. 지난 몇 년간 치열한 논쟁을 거쳐 이제 비트코인은 주요 국가에서 공식 화폐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인공지능이 초생산성 사회를 만든다면 블록체인은 초신뢰 사회를 만들게 된다. 초생산성 사회가 갖는 위험성을 분산된 신뢰가 보완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다보스포럼이 4차 산업 혁명에 양대 승자로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을 꼽은 이유다.

화폐가 블록체인 기반의 비트코인 등으로 이행되면 이 세상은 투명한 구조로 변모하게 된다. 모든 화폐의 거래 기록은 화폐 그 자체에 남아 있다. 내가 소유하고 있는 화폐가 어떤 경로로 왔는지 재현할 수 있다. 검은돈의 흐름이 언젠가는 밝혀질 수 있는 구조다.

장막 뒤에 숨어 장난을 치는 것도 불가능하다. 아직은 블록체인의 검증 속도로 인해 신속 거래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다시 대표자 선발을 통한 1차 검증과 시차를 둔 전체 검증이라는 이원적 검증 제도를 통해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으로 라이트코인 등 새로운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근본적 핵심 개념은 분산된 신뢰가 더욱 안전하다는 것이다. 블록체인 화폐는 그 자체가 은행이다. 화폐 자체가 스마트하게 프로그램화될 수 있어 시간과 조건에 따라서 자동으로 거래될 수 있다. 오랜 역사를 가진 은행이 근본적으로 해체된다는 의미다.

블록체인은 화폐에서 시작했으나 화폐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나스닥은 증권 거래 시스템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구축하기 시작했다. 모든 거래 기록을 남기고 보안과 검증을 하는 복잡한 구조가 블록체인 기반으로 단순하게 구성되면 비용은 10분의 1 이하로 축소된다.

그렇다면 기업의 회계 시스템이 투명한 블록체인으로 변모하는 것은 당연한 추세일 것이다. 신뢰가 필요한 등기문서, 공문서 등 모든 문서도 마찬가지다. 이제 스마트홈, 자율 자동차 등 IoT(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안전도 블록체인으로 뒷받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회적 거버넌스의 핵심인 선거제도가 블록체인으로 변모될 수 있다. 사회적 의사결정 시스템은 신뢰를 기반으로 한다. 비밀, 평등, 직접 투표 원칙의 실시간 저비용 투표 시스템을 블록체인으로 구현할 수 있다. 모바일 블록체인 투표 시스템은 대의민주주의에서 직접민주주의로의 전환을 촉진할 수 있다. 내가 속한 커뮤니티별로 의사결정 거버넌스가 만들어지고 필요시 실시간으로 초저비용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이미 한계에 도달한 국회의원 등 대의민주주의의 대리인 문제도 해소될 수 있다. 미래 디지털 사회의 정당은 이러한 직접민주주의의 의사결정을 뒷받침하는 싱크탱크 역할로 전환하게 될 것이다.

초생산성과 초신뢰성이 확보되는 초생명의 미래 사회, 앞서갈 것인가 뒤처질 것인가 그것이 문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