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공직자에 대한 “골프 좀 자유롭게 했으면 좋겠다”라는 발언에도 골프시장엔 찬바람이 여전하다.
박 대통령은 26일 청와대에서 열린 언론사 간담회에서 “얼마든지 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눈총에다가 여러 가지 마음이 불편해서 내수만 위축되는 결과를 갖고 오지 않겠는가”라며 공직자들에 대한 골프 허용 의사를 밝혔다.
이날 박 대통령은 과거 ‘골프를 칠 시간이 있겠느냐’라는 자신의 발언에 대해 “확대해석할 필요도 없다. 함의를 담고 있는 것 아니냐 생각할 줄은 상상도 못했다”며 “앞으로 말조심을 더 해야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업계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지금까지 박 대통령의 골프 정책은 사실상의 ‘골프 금지령’으로 풀이됐다. 그러나 이날 박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처음으로 자신의 골프 정책에 대한 공식 입장을 분명히 했다. 골프계는 내수 활성화와 고용 창출 기대감으로 부풀었다.
우선 골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바뀔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골프가 대중화 됐다고는 하지만 ‘골프=부유층 전유물’이라는 부정적 시각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그린피는 물론 각종 이용료가 대폭 하락했지만 골프를 즐기려는 젊은 층은 많지 않다.
이에 대해 한 골프장 관계자는 “(골프장 이용료가) 비싼 이유도 있지만 골프를 치는 사람을 마치 죄인처럼 대하는 사회적 풍토가 더 문제”라며 “국내 골프산업과 내수 활성화를 위해선 골프에 대한 편견부터 없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의 골프 정책과 발언은 국내 골프산업 활성화에 막대한 영향을 가져왔다. 국내 골프산업에 있어 1차 붐을 가져온 건 제5공화국에서 제6공화국으로의 정권이 이양되는 시점이다. 골프광이던 노태우 전 대통령이 청와대가 가지고 있던 골프장 인ㆍ허가권을 시ㆍ도지사에게 위임하면서 골프장 건설 붐은 시작됐기 때문이다.
한국골프장경영헙회(회장 박정호)의 골프장 통계 자료에 따르면 1988년 전국 골프장은 39개였다. 가야, 동부산, 올림픽, 울산, 88CC 등이 이 시기에 문을 열었다. 눈에 띄는 건 내장객의 증가다. 1987년엔 217만3936명에 불과했지만 이듬해 268만5685명으로 1년 사이 23.5%나 증가, 국내 골프 붐의 시작을 알렸다.
그러나 박 대통령의 공직자에 대한 골프 자율화 발언이 내수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라 전망하는 전문가들은 많지 않다. 적극적인 대중화 정책이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한 골프용품업계 관계자는 “골프 대중화를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있지 않는 한 공무원들은 여전히 눈치를 볼 것 같다”고 말했다.
서천범 레저산업연구소 소장은 “(공무원들의 골프 자유화를) 국무회의에서 명확히 밝히고, 감사지침도 바꿔야 한다”며 “김영란법이 9월 시행되는 동시에 접대골프를 치는 것을 제외하고 ‘인사고과 등에 불이익이 없다’고 선언해야 마음 편히 골프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