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ㆍ오륙도ㆍ순천만 갯벌…해양보호구역 아시나요

입력 2016-06-30 16:31수정 2016-07-01 14: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수부, 전국 24곳 485 지정…환경교육에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울릉도는 오징어나 호박엿으로 유명하지만 해양보호구역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많다. 부산에서 유명한 오륙도 주변 해역도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순천만 갯벌도 마찬가지다.

해양보호구역은 생물 다양성 보전 등을 위해 해양 생태계 및 경관이 우수해 보호할 가치가 있는 해역 또는 갯벌을 지정해 관리하는 제도다.

우리나라에는 2001년 무안 갯벌을 시작으로 해양생태계보호구역 11개소 및 습지보호지역 13개소 등 총 24개소(485㎢)가 지정돼 있다.

하지만 홍보가 부족해 대다수의 국민들이 모르고 있는 실정이다.

30일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매년 해양보호구역 신규 지정을 통해 개소수 및 면적을 확대하는 외형적 성과를 거뒀으나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미흡했다”고 밝혔다. 해양보호구역 관리가 체계적이지 않고 전문인력도 부족하며 홍보도 미흡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최근 브랜드 가치 제고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해양보호구역 관리 종합방안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핵심은 해양보호구역의 단순한 양적 증가에서 관리의 품질 개선 중심으로 정책을 전환하는 것이다.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모니터링 조사, 가치평가로 해양보호구역의 과학적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위협요인 관리 및 서식처 복원으로 해양생태계를 보전하기로 했다. 세계자연기금(WWF)에 따르면 해양보호구역의 경제적 가치는 어마어마하다.

전 세계 해양보호구역을 30%까지 확대 시 2050년까지 4900억 달러에서 9200억 달러에 이르는 순이익과 15~18만 개의 정규직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선더베이는 연간 1억 달러의 순이익과 1704개의 일자리를 창출했고 채널아일랜드도 8800만 달러, 2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보호구역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24개에서 2017년까지 29개소, 2020년까지 32개소로 확대한다. 또 지정도 △원시성 △생물다양성 △지형ㆍ지질 △기초생산력 △보호대상 해양생물 △경관 △수산자원 등을 기준으로 해 세부구역별 특성에 맞는 지표를 마련할 계획이다.

현재 해양보호구역은 해양생물보호구역, 해양생태계보호구역, 해양경관보호구역으로 나뉘는데 해양생태계보호구역만 13곳이 지정돼 있고 나머지 지정 현황은 전무하다.

올해는 옹진 백령도 지역의 보호대상해양생물(점박이물범) 서식지를 해양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새 후보지 지정을 준비하고 있다.

해수부는 또 해양보호구역별로 지역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생물종 등을 선정해 지역주민 및 국민적 관심을 유도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서천 갯벌은 검은머리물떼새, 제주 문섬은 연산호 군락, 송도 갯벌은 저어새, 제주 추자도는 잘피군락지, 순천만 갯벌은 흑두루미를 대표종으로 내세우는 것이다.

아울러 연안 중심의 보호구역 지정을 근해까지 확장하고 습지보전법 개정을 통해 연안습지의 범위도 수심 6m까지 확대한다.

관리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전문교육과정을 신설하고 갯벌센터 마스터 제도 등 지역전문가를 육성ㆍ지원한다. 지방청과 지자체를 중심으로 해양보호구역 관리기본계획 표준안을 마련해 시달하고 지역 맞춤형으로 ‘자율 용도구역제’도 추진한다.

자율 용도구역제란 해양보호구역 내에서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행위제한을 결정하는 제도다.

또 중앙심의위원회, 지역관리위원회 등을 통해 민관산학협력 거버넌스(협의체)를 구성하고 해양보호구역 센터도 확충키로 했다.

해수부는 해양보호구역에 대한 홍보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적극 나선다. 해양보호구역을 활용해 해양환경교육과 워크숍, 심포지엄을 개최, 주민교육 참여 확대 및 대국민 인식 증진을 하기로 했다.

지역별 특화 및 교육대상별 눈높이를 맞춘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을 지원하고 각 교육청과 정규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을 협의할 계획이다.

올해는 수요일엔 바다톡톡, 찾아가는 해양교육 등과 연계하고 교과과정 분석 연구도 추진한다.

국회, 정부, 지자체, 민간단체, 관련 전문가 등 각계 각층이 참여하는 전국 단위의 해양보호구역 포럼도 설립한다.

마지막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나선다.

지역 축제 문화 역사와 생태자원 등을 연계해 주민 주도의 스토리텔링 테마 관광 및 체험형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한다.

신안군 증도의 경우 ‘느려서 더 행복한 여행’이라는 전문여행사를 꾸려 지역주민의 삶과 문화, 생태계를 보호하고 존중하는 지역사회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14년 기준 160여만 명의 탐방객이 방문해 45억 원의 입장료 수입을 올렸다.

해수부는 해양보호구역 로고를 개발해 대국민 인지도 및 지역의 브랜드 가치 제고에서 나서기로 했다.

예를 들어 신안 김을 미국으로 수출할 때 해양보호구역 내에서 생산된 김이라는 브랜드를 추가할 경우 수출 증가에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해수부 관계자는 “해양보호구역은 각종 개발 압력으로부터 지역의 해양생태계 등을 보전할 수 있는 가장 실효적인 정책 수단”이라며 “생물다양성 확보 및 수산자원 증가 등 우수한 해양생태계 유지에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보호구역센터 건립, 생태탐방로 설치 등 보호구역 관리사업과 생태관광 연계로 관광객 증가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보호구역의 청정이미지를 부각, 지역의 수산물 브랜드 가치 제고로 어업인 소득 증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