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16년 2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0만6000원으로 전년 대비 0.8% 증가했다. 하지만 물가상승을 제외한 실질소득(0.0%)은 1년 전(2.3%)보다 크게 낮아진 모습이다.
기획재정부는 “근로소득 증가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월세 비중 증가세가 둔화해 사업소득 증가율이 감소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이자소득 하락으로 재산소득(-9.8%)이 줄었고, 초ㆍ중등 명예퇴직 교원 감소로 퇴직수당(-75.7%)이 줄어들면서 비경상소득(-21.4%) 감소로 이어졌다.
특히 국민소득의 분배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인 소득5분위 배율은 4.51배로 1년 전 같은 기간(4.19배)보다 상승했다. 이는 상위 20%의 소득이 하위 20%의 4.51배라는 의미다.
소득5분위 배율은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2분기만 보면 2008년 5.24배에서 금융위기 여파가 몰아친 2009년 5.16배였다가 2013년 4.68배, 2014년 4.58배, 2015년 4.19배로 낮아지는 추세였지만 다시 상승한 것이다.
소득5분위 배율이 상승한 것은 1ㆍ2분위 소득이 감소한 탓이 크다. 3ㆍ4ㆍ5분위 소득증가율은 각각 1,3%, 2.4%, 1.7%인데 반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소득(-6.0%)과 2분위 소득(-1.3%)은 각각 줄었다.
기재부는 지난 2분기 가계소득이 증가한 기저효과와 임시ㆍ일용직과 고령층 취업자 둔화 등이 저소득층에 해당하는 1분위 소득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2분기 기준 월평균 소비지출은 328만1000원으로 전년 대비 같은 수준이었고, 실질로는 -0.8%로 줄었다. 소비에 쓴 돈은 그대로이고 실제 소비한 양은 오히려 떨어졌다는 의미다.
하지만 유가 하락 요인을 제외하면 가계지출은 0.6% 증가로 추정된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소비 지출은 곡물ㆍ유가 하락으로 식료품비와 주거ㆍ수도ㆍ광열비 등이 감소한 반면, 오락ㆍ문화, 주류ㆍ담배 지출은 모두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담뱃값 인상에도 담배 반출량이 증가하면서 담배지출은 10.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재부에 따르면 담배 반출량은 2분기 9억5000만 갑으로 1년 전(7억9000만 갑) 보다 1억6000만 갑이 증가했다.
분위별로 보면 소득이 낮은 1분위는 교통(-14.6%), 오락ㆍ문화(-5.9%), 주류ㆍ담배(-4.9%) 등의 지출을 줄였고, 고소득층인 5분위는 주류ㆍ담배(16.6%), 보건(19.2%), 교통(27.7%) 등 지출은 늘린 반면, 교육(-5.6%), 가정용품ㆍ가사서비스(-16.0%) 등의 지출을 줄였다.
지난 5월 6일 임시공휴일 지정 등으로 여행객이 증가하면서 오락ㆍ문화지출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가계수지를 보면 월평균 처분가능소득(1.0%)과 흑자액(3.6%)은 늘었지만, 평균소비성향은 70.9%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 하락했다.
적자가구 비중은 2~5분위를 중심으로 개선되고 흑자액은 2분위(20.7%), 3분위(20.9%)에서 크게 증가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가계소득은 완만하게 증가하나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지출 증가세는 둔화되는 모습”이라며 “추경 등 재정보강 대책의 신속한 추진과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으로 통해 가계소득을 늘려 소비증가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