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무역주의’ FTA 재협상시 가전업계 피해·車업계도 수출 물량에 관세 폭탄 전망… ‘환경 투자 줄이고 인프라 늘리고’ 에너지 발전사 수혜 기대 두산重·도로건설 확대 두산밥캣 주목
미국 대통령으로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하면서 트럼프 정책에 따른 수혜업종 찾기가 한창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이 글로벌 금융시장과 경기상황 불확실성을 높였다고 우려했다. 향후 구체화될 정책방향과 주요 장관 인선 등을 지켜보며 시장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경제정책 방향의 핵심은 감세와 규제 완화,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을 바탕으로 한 미국 경제 활성화다. 감세와 재정지출 등 강력한 재정정책을 시행하겠다는 것으로, 성장에 대한 기대와 함께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런 관점에서 전문가들은 소재(철강·비철금속), 산업재(기계·운송), 금융(은행) 업종을 우선적으로 선택해야 할 종목으로 제시했다.
◇ 美 대규모 인프라 투자, ‘전통 인프라 업체’ 수혜 = 트럼프 당선 이후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더라도 국내 철강사에 대한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다. 미국에 대한 철강재 수출량은 전체 판매량의 5%, 전체 수출량의 13%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전체 판매량 중 미국 수출 비중은 5% 미만이다. 또한 대부분의 철강재는 이미 반덤핑관세를 적용받아 수출되고 있다.
기계·운송업은 업체별 온도차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이지윤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 인프라 증설과 전통 발전원에 대한 우호적 입장이 맞물리면서 전통 인프라 업체의 수혜가 예상된다”며 “신재생에너지 보조금 축소를 시사한 만큼 두산중공업 등 석탄, 천연가스 발전 업체의 수혜가 점쳐지고 있다. 도로 건설 등 인프라 투자 증가 시 밥캣 수혜가 예상돼 두산인프라코어도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방산 업체가 단기적으로 재무 압박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 연구원은 “국방비를 크게 증가시키기 어려운 경영환경에서 트럼프가 주한 미군 분담금을 크게 높일 것을 요구할 경우 무기 구매 및 개발 비용에 부담이 지워질 것”이라며 “현재 대규모 무기 국산화를 진행 중인 국내 방산 업체들의 유동성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해운 업체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공존할 것으로 관측됐다. 미국에 대한 중국 소비재 수출 감소로 컨테이너 물동량 축소가 예상되는 반면, 미 인프라 투자에 따른 원자재 수요 증가로 벌크 물동량은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항공의 경우 물동량 절반 이상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는 무관한 반도체 부품으로 타 운송업 대비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은행 수익성에는 직접적 영향이 거의 없을 것이란 판단이다. 다만 보호무역주의 정책으로 국내 수출기업 경쟁력이 약화될 경우 이는 중장기적으로 국내 경기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통신 업종도 트럼프 시대 주목할 업종으로 꼽혔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망 중립성 원칙을 도입했던 오바마와 달리 자유경쟁주의에 기반한 트럼프 정부에서는 망 중립성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라며 “망 차별성이 보장될 경우 플랫폼 사업자가 아닌 네트워크 사업자 즉, 통신사의 자유가 보장되기 때문에 통신 업종 수혜가 전망된다”고 말했다.
◇ 보호무역주의 강화, ‘가전·자동차’ 타격 불가피 = 트럼프의 주요 정책인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한미 FTA 재협상이 현실화되면 국내 가전 업체의 피해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는 미국 가전 업체의 경쟁력을 확대시키는 반면,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가전 사업 경쟁력 및 수익성을 크게 약화시킬 것”이라며 “물량 경쟁(점유율) 보다 브랜드, 프리미엄 중심의 시장 상황을 고려하면 국내 가전업체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업종도 보호무역 정책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된다. 현대차그룹의 연간 자동차 판매량(800만 대) 가운데 미국 비중은 19%(150만 대)로, 이 중 65만 대는 미국 현지 생산, 60만 대는 한국에서 수출, 10만 대는 멕시코에서 수출하는 상황이다. 전재천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보호무역이 가시화되면 한국과 멕시코에서 생산하는 물량이 관세 또는 비관세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건설·건자재 업종도 약세가 전망된다. 진용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인프라를 포함해 확장적인 재정정책이 예상되나 수혜는 미국 내 건설·기계 업종에 한정될 것”이라며 “셰일 등 수출이 본격화된다면 오히려 중동 및 이머징이 주력 시장인 국내 건설 업체에는 장기적으로 부담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제약·바이오 업종도 중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봤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트럼프가 자율경쟁으로 약가인하를 유도하고 오바마케어 폐지를 주장하면서 미국 헬스케어주가 반등했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종의 동반상승이 기대된다”면서도 “미국용 라이선스 아웃 기회가 축소될 가능성이 있어 2017~2018년 미국 시장을 목표로 신약과 신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있는 국내 제약·바이오 회사들에는 중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