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정국’ 경제 컨트롤 타워 상실… 내년 대선 앞두고 줄상승 예고
배추와 무, 고등어 등 밥상물가가 오른 데 이어 도시가스와 화장품, 음료, 맥주 등 생활물가마저 줄줄이 인상되면서 서민경제에 주름이 깊어지고 있다. 더불어 경기는 좀처럼 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데 수년간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상 요인이 누적된 업체도 죽을 맛이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밥상물가로 불리는 농ㆍ축ㆍ수산물 물가는 크게 뛰었다. 특히 배추와 무 등 일부 농산물은 가격이 100% 이상 급등하는 등 1년 전보다 38%가량 올랐다. 지난 여름 기록적인 폭염에 업황이 좋지 않은 데다 채소 재배면적이 줄어든 탓이다. 여기에 축산물과 수산물도 공급량이 줄어 가격이 뛰자 소비자들은 식료품 소비를 줄이고 있다. 음식료품 등을 포함한 9월 비내구재 소매판매가 한 달 새 5.1% 감소한 것.
여기에 생활물가도 우상향 조짐을 보여 소비자의 생활을 한층 더 팍팍하게 만들고 있다. 화장품과 음료, 맥주 등의 가격이 줄줄이 인상됐다. 또 이달 1일 자로 도시가스 요금도 평균 6.1% 인상됐다. 가구당 월평균 요금이 1758원가량 오른다. 국제유가의 상승 등 누적된 인상 요인을 ‘원료비 연동제’에 따라 반영했다.
식음료업계에서 제품 가격을 인상했거나 인상을 고려하는 이들의 속내도 편치는 않다. 침체한 경기는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 데다 수년간 가격 인상도 없었다. 여기에 원자재 가격은 오르면서 실적 부진을 해결할 마땅한 돌파구를 찾기도 어려워지자 마지막으로 선택한 것이 가격 인상이다.
내년이 정권 교체기이고 최근 사회 전반의 모든 이슈가 ‘최순실 게이트’에 파묻혀 가격 인상에 대한 관심도가 덜하다. 여기에 물가를 통제할 경제 컨트롤 타워가 마땅히 없다는 점도 가격 인상을 선택하게끔 하는 요인이 됐다. 임종룡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2일 내정됐지만 이후 상황이 급변하면서 기재부 현안 보고 등은 중단됐다. 내정자가 있는 상황에서 유일호 현 부총리가 할 수 있는 역할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평가다.
식음료업계 한 관계자는 “(기억으로는) MB 정권 당시에 가격 인상을 억제하는 등 겉으로 보이는 제재가 임기 내내 꾸준하게 이어졌다면, 이번 정권에서는 그와 다르게 겉으로 드러나는 제재는 적었으나 정부의 눈치를 봐 온 것이 사실”이라며 “하지만 최근 어수선한 정국에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정부의 영향력이 줄어들면서 당분간은 가격 인상 관련 이슈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