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소규모펀드 정리 정책을 실시한 지 1년 반 만에 관련 펀드 85%가 사라졌다. 전체 공모펀드 중 30%를 웃돌던 소규모펀드 비율은 7%대로 하락했다.
11일 금융위원회는 2015년 6월 말 기준 815개였던 소규모펀드가 지난해 말 기준 126개로 84.5% 하락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전체 공모(추가형)펀드에서 차지하던 소규모펀드 비중은 36.3%에서 7.2%로 줄었다.
금융당국은 2015년 11월 설립 후 1년이 경과한 공모펀드 중 원본이 50억원 미만인 펀드를 소규모펀드로 규정하고 지난해 2월부터 ‘소규모펀드 정리 활성화 및 신설 억제를 위한 모범규준’을 시행했다. 소규모펀드 정리 실적이 미진한 자산운용사에는 신규 펀드 설정을 제한하는 등의 패널티도 부과했다.
이에 지난해 말 기준 공모형 펀드를 운용중인 자산운용사 53개 가운데 23개 회사가 소규모펀드 감축 목표비율이었던 5%를 충족했다. 소규모펀드를 아예 없앤 운용사도 KTB, 흥국, 현대 등 10개사에 달했다.
특히 금융위가 3·6·9·12월 분기별로 제시한 목표비율을 모두 충족한 운용사는 미래에셋, 삼성, 신한BNP파리바, 도이치 등 9개 회사였다. 2015년 6월 말 대비 감축한 소규모펀드 수가 많은 운용사는 하나UBS(83개), 미래에셋(62개), 삼성(57개), 키움(53개), 한국투자신탁(46개) 순이었다.
반면 감축 목표비율을 충족하지 못한 곳도 아직 30곳에 달했다. 이 중 공모펀드가 10개 이하거나 소규모펀드가 5개 이하로 규모 자체가 작은 회사들을 제외한 18개 회사는 신규 펀드 등록이 제한됐다.
소규모펀드 정리에 따라 공모형 펀드의 평균 운용규모는 2015년 6월 말 958억원에서 지난해 말 기준 1135억원으로 18.5% 증가했다. 펀드매니저 1명 당 펀드 숫자도 3.8개에서 3개로 줄었다.
금융위 관계자는 “운용규모가 커지면서 효과적인 분산투자가 가능해지고 펀드운용 비용 면에서도 효율성이 높아질 것”이라며 “펀드매니저의 운용·관리 집중도도 높아져 투자자 신뢰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올해 소규모펀드 비율이 5%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당초 올 2월까지였던 모범규준 존속 기한을 내년 2월까지 연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