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를 돕고 있는 유웅환 전 인텔 수석매니저는 27일 “문 후보의 4차산업혁명 공약은 사람을 귀히 여기는 사람 중심의 포용적 공약”이라고 설명했다.
유 전 매니저는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이투데이와 인터뷰를 갖고 “성장과 일자리라는 측면에서의 접근도 있지만 4차산업혁명에 의해 소외될 우려가 있는 계층에 대한 배려, 분배를 고려해 준비 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 문 후보 선대위에 합류, 새로운대한민국위원회 4차산업분과 공동위원장 겸 일자리위원회 본부장을 맡고 있는 그는 ‘4차산업혁명’에 대한 설명부터 풀어갔다.
그는 “실체를 둘러싼 물음표가 있고 유행어처럼 느끼는 분들도 있다. 좀 지나면 없어질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면서 “지난 1,2,3차산업혁명은 시간이 지난 뒤 알게 됐지만 이번은 체감 전부터 혁명에 앞서서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증기가관, 전기를 이용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한 컨베이어 벨트, 반도체 등이 이끈 디지털혁명으로 지난 산업혁명들에서 노동시간 대비 생산량이 퀀텀점프(Quantum Jump‧대약진)했다”며 “현재 4차산업혁명은 비행기로 따지면 막 이륙하려는 단계”라고 규정했다.
그는 “4차산업혁명 이후 우리 삶 자체가 다 바뀐다. 10년 내지 20년 이내로 우리가 일하는 시간의 반만 일해도 모든 사람이 먹고 살아도 충분한 생산량이 나온다”며 “특히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따른 노동집약적 직업군, 완전자율주행 차량 등장으로 인한 택시기사, 대리기사 등 당장은 아니어도 일자리가 줄어들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일자리 감축에 따른 부작용과 더불어 건강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도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 주도식 4차산업혁명을 ‘구시대적 발상’이라고 비판하며 민간 주도를 강조한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측을 향한 반박인 셈이다.
그는 “강물의 흐름을 보면 중간중간 흐름을 방해하는 로드 블록들이 있잖나. 그러한 기업 규제가 노무현정부 말기 5100여개 정도에서 15000여개로 늘었다”며 “블록들을 치워 물이 흐르고 생태계가 살아나게끔 하는 게 지금 정부의 역할”이라고 했다. 이어 “로드 블록을 치워주고, 인프라를 쫙 깔아주고, 물길을 만들어주는 정부의 조력자, 촉진자 역할이 도움 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80년대 이후 생산량은 급격히 증가했지만 우리의 삶은 정체돼 있잖나. 4차산업혁명이 본격화하면 빈부차는 더 커질 것인데, 정부가 자율에 맡긴다는 건 무책임하다”고 주장했다.
신산업에 대한 네거티브 규제 적용 공약을 두고는 “장기적으로 금지된 것만 빼놓고 다 해도 되는 방향으로 가려면 한꺼번에 규제를 다 들어내야 한다”며 “기업인들이 요구하는 규제는 부분적으로 축소하고 개정하는 방향으로 가되 부작용이 있다면 적절한 시기에 정부가 나서서 조정을 해야 한다”고 했다.
안 후보를 직접 겨냥해선 “너무 기술산업에 집중해 있다”며 “사람과 문화, 기술과 문명의 변화가 같이 움직여야 한다”고 했다. 그는 “학제개편만 바꿔선 의미가 없다. 교육철학이 바뀌어야 한다”며 “똑같은 매트릭스로 사람을 평가하하는 기준으로는 다양성을 확보할 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유 전 매니저는 “마흔 살에 한국에 돌아오면서 조국을 위해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을 고민했다”며 “우리의 기술 수준은 미국에 뒤지지 않지만 다음 단계의 도약을 위해선 문화적 변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승자독식의 4차산업혁명에 앞서 제너럴리스트 아닌 스페셜리스트를 육성하는 교육의 변화, 생각의 전환, 그리고 직장문화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봤다”고 했다. 그는 “문 후보 역시 제가 중요하는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문 후보를 도와 기술발전과 문화가 쌍두마차처럼 같이 가는 4차산업혁명 혁신에 기여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유 전 매니저는 카이스트대학원에서 전기전자공학 석박사 학위를 마쳤다. 글로벌 IT기업인 인텔에서 CPU 하드웨어 플랫폼 설계 엔지니어로 10년간 일하는 동안 만 35세에 인텔 수석매니저에 올랐다. 이후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 최연소 상무도 지낸 그는 문 후보 선대위에 합류하면서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대한민국 국적을 회복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