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25일 열리는 이재용 부회장 1심 선고를 앞두고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전날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이재용 부회장에게 징역 12년을 구형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던 삼성 임직원은 이내 차분함을 되찾고 1심 선고 결과에 따른 후속 대책을 논의하는 분위기다.
일단 삼성 관계자들은 약속이나 한 듯 특검의 구형에 대한 공식 반응은 자제하고 있다. 특검의 구형이 재판 결과가 아닌 만큼 “법원 선고를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대신 삼성 수뇌부는 법원이 ‘법리상 무죄’라는 변호인 주장을 받아들일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혹시라도 있을지 모를 상황 등에 대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1심 선고 이후 국내외 협력업체와 거래선 및 투자자들에게 관련 정보를 정확히 제공하고, 추후 대책을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또 총수에 대한 수사와 재판이 이어지면서 흐트러진 조직 내부 분위기를 다잡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 구속 이후 삼성 계열사들은 끊임없이 위기를 강조하며 각종 행사 등을 최소화해왔다. 삼성 사장단 인사 역시 제때 이뤄지지 못하는 등 조직 역동성에도 다소 문제가 생겼다.
이재용 부회장이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을 경우, 총수의 장기 부재가 현실화하는 만큼 충격 완화를 위한 대응책 마련에도 나섰다. 일단 계열사 자율경영 체제를 더 강화할 것으로 보이지만, 궁극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을 전망이다.
실제 삼성 측은 이건희 회장이 2014년 5월 병상에 누운 이후 최근 몇 년간 사실상 총수 역할을 맡아온 이 부회장이 2월 구속 수감된 이후 ‘총수 공백’으로 인한 부작용이 크다고 호소해왔다. 금융, 전자, 바이오 ‘삼각편대’로 구성된 사업재편이 올스톱 됐다. 오너의 과감한 결단이 필요한 대규모 인수합병(M&A) 역시 지난해 데이코와 하만 이후 사실상 개점휴업이다.
재계에선 삼성전자가 최근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총수 부재가 더 길게 이어진다면 굵직한 인수합병이나 투자 결정 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무엇보다 삼성이 그동안 쌓아온 브랜드 이미지와 글로벌 지위에도 타격이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