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진비용 10% 수준으로 '뚝' 떨어져...서울대 묵인희 교수 연구팀 성과
혈액검사를 통해 치매를 예측할 수 있는 새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조기검진과 예측을 통해 치매 치료를 위한 의료비용 절감은 물론 사전 예방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3일 "치매예측기술국책연구단 묵인희ㆍ이동영 교수(서울대학교) 연구팀이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에 혈액검사로 알츠하이머병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 국내기업에 기술을 이전했다"고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대표적인 치매 원인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만성적이고 진행성 경과를 보이는 탓에 뇌세포 손상 진행 이전 단계에서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학계는 판단해 왔다.
이제껏 알츠하이머병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사후 부검에 의존하거나 아밀로이드 PET라는 고가의 뇌영상검사를 이용해야 했다.
그러나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새 기술을 이용하면 소량의 혈액만으로 아밀로이드 PET 검사 결과를 약 90% 수준으로 예측할 수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밝혔다. 향후 조기검진‧예측을 통한 의료비용 절감과 사전 예방 가능성이 기대된다.
현재 뇌영상촬영 진단에 약 150만 원이 필요하지만 새 기술은 이를 10%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혈액 내 아밀로이드 단백질은 뇌 베타 아밀로이드 침착과 유의한 관련을 보인다. 그러나 혈액에 존재하는 다양한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돼 불안정한 측정치를 보인다.
묵인희 교수 연구팀은 새로운 혈액 전처리 기술로 혈중 내 베타아밀로이드 농도를 안정화시키는 시스템을 확립, 측정의 정확도를 크게 높였다.
기술개발을 주도한 묵인희 교수는 “대부분의 치매 진단 기술들이 증상이 뚜렷한 치매 환자를 구분하는 방법이지만 새로 개발한 기술은 증상이 없는 정상 단계부터 알츠하이머병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크게 차별화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최근 알츠하이머병 분야 저명 국제학술지인
이번 기술 개발은 과기정통부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치매예측기술국책연구단에서 수행했다. 진단키트 개발 과제는 임상기기의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 과정을 지원해주는 ‘차세대의료기기 100프로젝트 멘토링 프로그램’으로 선정돼 실용화 가능성도 큰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