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금통위 폴]② 전문가별 코멘트

입력 2017-11-26 12: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 = 인상, 만장일치, 내년 3분기 추가인상

과거 선례를 보면 금리를 인상하거나 인하로 변경시 대부분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금리를 변경하는 마당에 힘을 실어주려고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6월부터 깜빡이(인상 신호)를 켰다고 생각하고 있다. 금융완화 정도가 지속되는데 따른 부작용과 관련해 분위기 환기나 변화조짐을 보여 왔었다. 다만 경기가 좋고 물가가 뛰어 인상한다는 스탠스는 아닌 것 같다.

추후 금리인상이 중요할 것이다. 경기와 물가여건을 감안할 경우 내년 2분기(4~6월)에라도 금리인상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다만 내년 리더십(총재) 교체가 있다는 점에서 내년 3분기 초입을 예상한다. 중간에 인사청문회도 해야 하고 그 기간 동안 공백도 무시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 김상훈 KB증권 연구원 = 인상, 만장일치, 내년 3분기 추가인상

올해 성장률 3%를 근거로 인상을 단행할 것이다. 만장일치 결정이더라도 내용상은 만장일치가 아닐 듯 싶다.

추가 인상은 내년 3분기가 될 것이다. 시기적으로는 이번 인상 이후 내년 2분기가 적당할 수 있지만 총재 교체건이 있다. 오자마자 금리를 인상하기 어렵다. 가계부채 흐름과 내년 상반기 성장률을 확인할 필요가 있고 내년 6월엔 지방선거도 있어서다.

▲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 = 인상, 소수의견, 내년 1분기 추가인상

인상 이후 기자회견을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향후 경기전망에 대해 10월 금통위나 지난 경제전망 이후 각종 발언 수위 이상으로 강하게 언급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추가 금리인상은 내년 1분기 중 시행될 것으로 예상한다. 내년 하반기로 갈수록 국내 및 주요국 모멘텀이 악화되며 통화정책 정상화엔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기 때문이다.

▲ 박종연 NH투자증권 연구원 = 인상, 만장일치, 내년 3분기 추가인상

6년여만에 인상이다. 만장일치가 아니라면 오히려 이상하게 보일수도 있다. 이주열 총재가 리더십을 발휘할 것 같다.

기자회견에서는 이번 인상이 나름 선제적이었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한은은 국내총생산 격차(GDP갭)의 플러스 전환시기를 내년 하반기로 보고 있다.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정책시차를 감안하더라도 GDP갭 플러스 전환시점에 비춰보면 좀 이른감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번 인상은 인상에 대한 효과와 경기여건을 지켜보겠다는 정도의 중립적 멘트를 예상한다. 또 최근 원화강세와 이에 따라 통화정책에 미칠 영향,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옥죄기 시작하는 가계부채, 미국 금리인상 추이 등을 봐가면서 다음 인상은 신중히 하겠다는 인식을 심어줄 것으로 본다.

미국도 최근 저물가가 일시적 요인이나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 금리인상은 올 12월과 내년 3월 이후가 될 전망이다. 국내의 경우 내년 2분기는 신임 총재의 적응기간이다. 일러야 내년 2분기 후반, 3분기 초반에 추가 금리인상이 단행되겠다.

▲ 서향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 = 인상, 소수의견, 내년 1분기 추가인상

만장일치 가능성도 높다고 보지만 소수의견이 나올 수도 있다고 본다. 만장일치라면 다음 인상이 빨라질 수 있고 소수의견이 두 명이라면 내년 1분기 인상은 어렵다. 다만 소수의견이 한 명이라면 내년 1분기 추가 이상이 가능하다.

과거 사례를 보면 기조적으로 펀더멘털이 형성되면 만장일치든 아니든 기조적인 인상이 이뤄져 왔다. 가계부채 이슈도 논란이다. 가계부채 문제를 우려한 인상이라면 한차례 인상이 가능하겠지만 글로벌 펀더멘털 수준을 반영한 정책금리 조정이라면 기조적으로 두 차례 인상이 가능하다.

금리인상으로 우려되는 가계부채 문제는 은행 가산금리 조정을 통해 메이크업(통제)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경기 모멘텀이 있을 때 추가 인상을 하는 것이 맞는다고 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