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되는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경제협력 교류가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표적인 수혜 업종으로 꼽히는 건설업계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지난 27일 발표된 남북정상회담 공동선언문에서 “남과 북은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번영을 이룩하기 위하여 10·4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며 일차적으로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와 도로들을 연결하고 현대화하여 활용하기 위한 실천적 대책들을 취해나가기로 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와 코레일의 주도로 철도 연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선언문에서 거론된 경의선은 서울에서 신의주까지 약 500㎞를 잇는 철도로 이 구간은 이미 지난 2004년에 연결된 구간이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이 노선은 시설 보수만 한다면 당장 운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동해선은 끊어진 철로를 연결하는 사업이 선행되야 한다. 지난 2007년 우리 측 고성 제진역에서 북한 측 감호역까지 구간은 연결됐지만 이후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이 역시 끊어진 채로 방치된 상태다. 여기에 우리 측 강릉역∼제진역(104.6㎞) 구간도 아직 미개통된 상태로 조만간 이 구간의 연결 작업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12년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철도연구원이 발표한 ‘남북열차 운행재개를 위한 남북철도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한반도 통합철도망의 건설 비용은 경의선(개성~평양~신의주) 7조8757억원, 경원선(평강~원산~두만강) 14조9294억원, 동해선(고성~원산~두만강) 14조7765억원으로 추정된다.
도로의 경우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지만 지난 10·4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들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한 만큼 서울에서 신의주를 잇는 경의선 도로가 대표적 사업으로 꼽힌다. 파주시 문산∼북한 개성 구간(19㎞)을 이으면 서울에서 평양까지 고속도로로 달릴 수 있는 상태다.
이미 한국도로공사도 문산∼개성∼평양∼신의주와 고성∼금강산∼원산∼함흥∼나진·선봉 등 두 개의 도로 축을 건설하겠다는 밑그림을 밝힌 상태다.
이른 시일내에 추진될 가능성이 큰 사업 중 하나는 개성공단의 재개설과 확장이다. 건설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개성공단은 앞으로 2·3단계 개발이 추진되면 기반시설 공사비 6834억원와 공장 건설비를 포함하해 총 6조30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전망이다.
건산연은 개성공단 사례를 토대로 라선경제무역지대에 2조4000억원, 신의주 1조6000억원, 황금평 2000억원, 금강산은 4200억원의 건설물량이 쏟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업계가 기대감은 보이는 부분은 향후 북한의 낙후된 SOC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이다.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거론했을 만큼 북한의 도로나 철도 상태는 크게 낙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올해 국내 SOC 예산은 20조 이하로 떨어질 정도로 정체된 상태에서 북한의 인프라 사업이 궤도에 올라올 경우 건설업계로서는 향후 구체적 액수를 거론하기 힘들 만큼 큰 시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력 협력사업 추진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다. 2016년 북한의 발전전력량은 남한(5404억㎾h)의 23분의 1 수준인 239억㎾h에 불과한 상태다.
여기에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각종 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사업 역시 기대감이 큰 부분이다. 북한의 광산, 산업단지, 이를 가공하기 위한 제철소 뿐만 아니라 이를 유통하기 위한 물류센터 조성 등이 이뤄질 경우 우리 측 건설업계가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건설업계도 발빠르게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대한건설협회는 "남북 정상회담에서 남북간 철도가 거론되는 등 앞으로 남북 경협 사업에서 건설산업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건설업계와 전문가로 구성된 '건설통일포럼'을 구성해 체계적인 경협 준비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건설통일포럼은 대형 건설사와 연구기관, 공기업, 학계, 시민단체 등 약 100명의 전문가로 구성된다. 다음 달 8일 킥오프 회의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하지만 건설업계와 관련 부처 등은 조심스런 입장 역시 적지 않다. 이제 정상회담이 시작돼 북한의 비핵화 문제에 대한 결론이 나지 않았고 북한과 미국의 정상회담을 앞둔 상태에서 고강도 경제 제재가 진행되고 있어 아직 그에 대한 계획을 내놓기에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아직 남북경협의 구체적인 내용을 준비하거나 논하는 것은 이른 감이 있다”며 “남북회담과 북미회담 등 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경협 문제가 자연스럽게 언급되면 자연스럽게 검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