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ㆍ외환은행 ‘원뱅크’ 통합 3년…화학적 결합 '당면 과제'

입력 2018-08-29 10:58수정 2018-08-29 17: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화학적 통합 3가지 걸림돌

KEB하나은행이 다음 달 통합 3주년을 앞두고 있지만 화학적 통합을 이뤄내기에는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다음 달 말까지 도출하기로 한 인사제도 통합안 작업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당분간 '옛 하나·외환은행' 한지붕 두가족 체제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KEB하나은행 사측이 14일 인사제도 통합안을 제시하면서 노사는 제도 통합을 위한 본격 실무 논의에 들어갔다. 노사는 5월 ‘노사 공동 태스크포스팀(TFT)’을 꾸리고 올해 9월 말까지 인사제도 통합안을 마련키로 했지만, 4개월이 지난 이제서야 본격적으로 논의에 착수했다. KEB하나은행은 2015년 9월 통합은행으로 출범, 지난해 1월 통합 노조가 출범했다. 그러나 여전히 인사·급여·복지제도는 통합되지 않아 직원들은 출신 은행에 따라 다른 처우를 받아왔다. 특히 임금 테이블이 달라 직원 간 연봉 차이가 발생해 미통합에 따른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가장 큰 쟁점은 통합 전 외환은행 직원들이 하나은행보다 평균 임금이 10%가량 높아 이 간극을 어떻게 좁힐지 여부다. 급여는 외환은행, 복지는 하나은행에 맞춰야 직원들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이 가장 크지만 인건비가 대폭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사측에서는 두 은행 조건을 절충해 새로운 임금체계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입직원이나 새로운 직급으로 편입되는 직원에 대해 출발선을 같게 두자는 취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합병 전인 2014년 기준 외환은행 직원의 평균 연봉은 8000만 원으로 하나은행(7300만 원)보다 700만 원가량 높았다. 현재도 관리자 연봉은 비슷한 선에서 책정되지만 행원의 경우 차이가 큰 편이다. 반면, 두 은행의 복지제도를 살펴보면 경조금 지급 대상 폭, 의료비 지원 한도 등 하나은행이 외환은행보다 폭이 넓다.

그동안 갈등을 빚어오던 노사가 힘을 합쳐 통합안을 내놓을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지난해 5월에는 노조가 “옛 외환은행 출신 직원들은 10여 년간 매해 5월마다 정기상여금을 받았지만 올해는 받지 못했다”며 사측을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 고발했다. 올해 초에도 회장 연임 과정, 채용비리 사태를 겪으며 노사 갈등은 더욱 깊어졌다.

노조 내에서 한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것도 속도를 내지 못하는 원인이다. 통합 노조가 출범했지만 하나·외환 출신 1명씩으로 구성되는 2명의 공동 위원장 체제 하에서 통합안을 위한 공통된 의견을 모으는 게 쉽지 않아 보인다.

KEB하나은행 노조 관계자는 “현재 노사 간 인사·급여복지 등 파트별로 실무소위를 구성해 각각 2차 회의를 마친 상황”이라며 “기존에 주던 급여나 복지 혜택을 없애는 것은 반발이 크기 때문에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 역차별 방지 등에 중점을 두고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