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도흔의 共有하기] 경제부처 공무원도 뾰족한 해결책 없는 ‘부동산·교육’

입력 2018-09-11 10:41수정 2019-01-07 16: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치경제부 차장

오랫동안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경제부처를 출입하고 있다. 기자들은 자신들이 주로 보도자료를 받아 기사를 쓰는 대상을 ‘출입처’라고 하고, ‘출입한다’는 표현을 쓴다.

경제부처가 주 출입처이다 보니 만나는 사람들은 공무원이 많다. 일반 공무원도 아니고, 5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행정고시)에 합격한 공무원들이다. 소위 엘리트 공무원들이다. 엘리트 공무원 중에서도 엘리트라고 자부하는 이들이 기획재정부 공무원이다. 오래 출입해 친한 공무원들이 여럿 있다. 최근에 공교롭게 이들과 만나 부동산과 교육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 물론 40~50대 남성들이 공적으로 만나 할 수 있는 얘기가 많지 않다는 점은 인정한다. 개인적인 이야기이다 보니 알파벳 머리글자로 처리했다. 만난 순서대로다.

A 과장의 고민은 부동산이었다. 요즘 집값이 오른다는 세종시에 아파트를 사야 할까, 아니면 서울에 사야 할까가 고민의 핵심이었다. 기자 주변의 사람들은 경제신문에 다니는 기자라면 모두 부동산 전문가라고 생각한다. 혹은 증권전문가라고 짐작한다. A 과장도 지긋지긋한 전세살이를 끝내고 아파트를 사고 싶다며 어디에 사야 하는지 궁금해했다. 기자가 미처 답을 못했는데, 동석한 한 공무원이 무조건 서울에 사야지 무슨 말이냐고 정색을 했다. 세종이 2배 오르면 서울은 10배 오른다는 게 이 공무원의 설명이었다.

월요일 오후에 만난 B 과장은 얼굴이 핼쑥했다. 요즘 경제부처 공무원이 일이 많은 것은 당연하지만 유난히 심해서 주말에 쉬지 못했냐고 물었다. 그러자 B 과장은 주말 내내 고3 자녀의 자소서(요즘엔 자기소개서를 자소서라고 줄여 부른다)를 썼다고 하소연했다. 자소서를 전문적으로 컨설팅해 주는 업체까지 갔다 왔다고 했다. 한 번 컨설팅에 30만~60만 원 정도를 낸다는 소개와 함께였다. 아직 애가 없는 기자 처지에서 교육 분야는 생소해 재미있게 들었다. 대학 입학사정관이 불법적으로 자소서 컨설팅도 한단다. 모 서울대 입학사정관은 지인들의 전화를 절대 받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학생생활기록부’라는 것이 있는데, 이걸 관리해 주는 학원까지 등장했다는 얘기가 가장 흥미진진했다. 일부 교사들이 자녀의 학생생활기록부를 고쳤다가 수갑을 찼다는 얘기까지 돈다고 했다. 취재차 B 과장을 만났는데 교육 얘기만 하다 헤어졌다.

C 사무관의 고민은 다시 부동산이었다. 같이 근무하는 공무원이 서울에 전세를 사는데, 최근에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1억 원이나 올려 달라고 해서 급히 이사할 집을 구하고 있다는 얘기였다. 소위 실·국장급 이상 고위 관료들도 만난다. 이들과는 부동산, 교육 문제는 별로 얘기하지 않는다. 고위 관료쯤 되면 다들 아파트 하나씩 있고 자녀들은 이미 다 커서 졸업을 했기 때문이다. 예외는 있다. 지금은 차관급인 한 관료는 김영란법(부정청탁금지법)이 논쟁거리가 됐던 어느 날 기자에게 취재를 해보라며, 강남에 아파트 없는 관료는 자신 빼고는 없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그 어렵다는 행시를 통과한 엘리트 공무원들도 부동산, 교육 문제는 해결하지 못한다. 지금 이 시각에도 고민하고 있을 일반 독자들에게 위안이 됐으면 한다. 영원히 답이 없을 것 같지만 부동산, 교육 문제도 결국 이런 고민이 모여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