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 만든 ‘1인 1지원’ 규칙에 발묶여...입사 3년 내 40%가 이직
일본 주요 기업들은 16일 내년 상반기 고졸 채용을 시작한다. 대졸 채용만으로 구인난을 해결하기 어려운 탓에 주요 기업들은 고졸 신규 채용 인력을 올해보다 8.2% 늘릴 계획이다. JFE그룹은 올봄 채용 규모보다 10% 늘려 약 1000명을 뽑을 계획이고, 신일본제철도 19% 증가한 880명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대졸 채용 구인배율은 1.88배, 고졸 채용 구인배율은 2.37배에 이른다. 말 그대로 기업 2~3개 곳 중에 골라서 갈 수 있는 환경이다.
다만 기업을 골라잡는 건 대졸 구직자들만의 얘기다. 고졸 구직자들은 합격이 내정된 기업이 있으면 더는 구직 활동을 하지 못한다. 이른바 ‘1인 1 지원’ 규칙 때문이다. 1950년대 고도 성장기 시절 일본은 인재를 확보하려는 기업 간 경쟁이 지금보다도 치열했다. 다른 기업에 합격 내정된 이들에게 입사 조건을 뻥튀기 제안해 인력을 빼가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이런 일을 막으려고 도입했던 규칙이다. 그러나 누구나 정확한 기업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정보화 시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면접만 보면 대부분 합격 통지를 받기 때문에 아주 신중하게 지원을 해야 한다는 소리다. 대졸자들이 여러 기업에 지원해 마음대로 면접을 봐 입사를 결정하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1인 1 지원’ 규칙은 고졸 취업자들의 이직률도 높이고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취직 후 3년 내 고졸자 이직률은 40%에 이른다. 입사 시 미스매치가 그만큼 많다는 것이다. 여기저기 다양하게 지원하고 기업을 비교해볼 수 있어야 하는데, 고등학교에서는 기업이 제공하는 구인표를 보고 기업 1~2개로 좁혀 학생들에게 제시한다. 고졸 구직자들이 받아드는 선택지가 좁을 수밖에 없다.
한 고졸 구직자는 니혼게이자이신문에 “1인 1개사 지원은 어렵다. 기업을 비교할 수 없어서 결국 면접을 본 기업이 시장 표준이라고 생각하게 된다”고 말했다. 또 한 사립고등학교 교사는 “현 제도는 직업 선택의 자유를 좁힌다”고 지적했다.
이런 지적에 정부와 기업들은 장애물을 줄이고자 시도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가을부터 교사와 학생, 기업이 한 장소에서 만날 수 있는 합동 설명회를 주선하고 있다. 또 2022년부터 성인 기준 연령을 현행 20세 이상에서 18세 이상으로 낮추기로 했다. 취직을 원하는 고등학생 개인의 의사를 더 존중한다는 취지다.
모바일 채팅 앱 라인은 일대일 채팅 방식으로 학생들에게 취업 상담을 해주고 있다.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서 채용을 시행하고 있는 기업이 있는지 물으면 특정 지역에 얽매이지 않고 기업을 찾아 추천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