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쏠림 수출 구조 취약성 노출…자동차·조선 등 산업 경쟁력 높이고 ‘5대 신산업 발전전략’ 구체화해야
성 장관은 취임 후 우리 주력산업의 활력 회복과 혁신성장 달성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성 장관이 21일 임명된 후 곧바로 미래 혁신성장 주력인 로봇기업(22일)과 주력산업의 한 축인 자동차 부품업체(27일)를 찾은 것도 이 같은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현재 자동차, 조선 등을 중심으로 한 우리 주력산업이 위기에 직면한 상태로 반도체에 의존하는 우리 수출 구조의 취약성과도 맞물려 있다.
올해 1~8월 수출액은 3998억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6.6% 증가했지만, 반도체(840억 달러·전체 21% 차지)를 뺀 수출 증가율은 고작 0.37%에 불과하다. 주력품목인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선박·가전·무선통신기기 등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부품의 경우 한국GM의 구조조정 여파에 따른 완성차 생산량 감소 등으로 관련 기업들이 시련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반도체 외 주력 수출 품목의 경쟁력을 강화해 반도체 의존의 수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경영난에 처한 자동차 부품업체, 조선 업체 등의 경영 안정화를 꾀하는 것이 성 장관의 당면 과제다.
혁신성장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산업부가 올해 초 자동차, 반도체·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사물인터넷(IoT) 가전, 에너지 신산업 등 5대 신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지만, 아직까지 국민이 체감할 만한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혁신성장의 토대인 5대 신산업 발전전략을 구체화해 피부에 와 닿는 성과를 도출하는 것이 성 장관의 또 다른 숙제다.
성 장관은 우리의 강점인 제조업을 기반으로 혁신 속도를 높이고, 더 많은 중소·중견기업들이 혁신성장의 주체가 돼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토록 하는 데 진력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문재인 정부의 중점 과제인 ‘에너지 전환(원자력·석탄 발전 줄이고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에 대한 논란 해소도 성 장관이 풀어야 할 과제다. 전임 장관 시절 마련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통해 올해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인 1.7GW의 96%를 달성하는 성과가 나타나긴 했지만, 탈원전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반발은 여전히 진행형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미국의 자동차 232조 조사와 유럽연합(EU)의 철강 세이프가드, 미·중 무역분쟁도 성 장관의 통상 대응 역량을 확인하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성 장관은 “우리가 새로운 것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스피드를 뒷받침할 수 있는 축적된 힘과 능력이 있어야 하고 그런 점에서 우리가 강점을 가진 제조업이 이러한 역할을 하는 환경을 만들겠다”며 “임기 내 한국 경제가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바뀔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