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중 반도체·항공 등이, 서비스업중 정보통신·출판·금융·과학기술서비스 등이 높다
11일 조성철 국토연구원 지역연구본부 책임연구원과 김기호 한국은행 국제경제연구실 연구위원이 발표한 ‘창업의 장기 고용효과: 시군구 자료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내 창업률이 1%포인트 상승할 경우 10년에 걸친 역내 고용증가율은 제조업의 경우 3.30%포인트 상승한 반면, 서비스업의 경우 그 효과를 찾기 어려웠다.
다만 제조업이나 서비스업 모두 높은 기술수준을 요하거나 지식수준이 높은 부문에서 고용효과가 높았다. 제조업의 경우 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항공 등 고위기술 분야는 21.72%포인트를, 기계·자동차·석유화학 등 중고위기술 분야는 17.07%포인트를, 플라스틱·철강·세라믹 등 자원집약적 업종이 다수를 차지하는 중저위기술 분야는 3.18%포인트를 기록했다. 반면 섬유·인쇄·가구 같은 도시형 제조업이 주로 포함된 저위기술은 1.66%포인트에 그쳤다.
서비스업의 경우 정보·통신·출판·방송·금융·과학기술서비스 등 여타 서비스업종에 비해 지식집약적인 업종으로 구성된 생산자서비스 분야는 0.65%포인트를 기록했다. 반면 숙박 및 음식점업인 개인서비스와 도소매업·운수업인 유통서비스, 행정·교육·의료·사회복지 등 사회서비스의 경우 전체적인 고용 확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고위기술일수록 초기 및 후기 시점에 높은 수준의 직접 고용효과를 보인데다, 중기 시점에서도 혁신기술 파급에 따른 새로운 시장창출이나 소비자욕구 확대 등에 따른 고용확대 등 공급측면 간접효과가 노동집약적 업종을 대체하거나 노동생산성 개선에 따른 노동 대체효과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지식집약적 업종 역시 타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간접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김기호 연구위원은 “단기적으로는 서비스업 창업의 고용계수가 컸다. 하지만 시장효율성 제고와 새로운 시장 창출 등 간접효과를 포함한 장기효과에서는 제조업 창업이 고용확대 효과를 보였다”면서도 “기술 잠재력이 높은 제조업과 지식수준이 높은 생산자서비스업 등에서 창업의 장기 고용확대효과가 큰 만큼 이에 대한 선별과 정책적 지원을 꾸준히 지속할 필요가 있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전국사업체조사 및 지역별고용조사 등 자료를 이용해 시군구 단위 기준으로 분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