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테스트베드 서울’ 선언…“서비스 성능효과 시험과 사업성 검증기회”
서울시가 서울시정의 모든 현장을 블록체인, 핀테크, AI 같은 혁신기술로 탄생한 시제품ㆍ서비스의 성능과 효과를 시험하고 사업성을 검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로 개방한다. 특히 지하철, 도로, 한강교량, 시립병원, 지하상가 등의 공공인프라부터 행정시스템까지 시정 곳곳에 적용한다.
서울시는 올해를 ‘테스트베드 서울’ 구축의 원년으로 삼고 2023년까지 총 1500억 원을 집중 투입해 1000개 이상의 혁신기업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27일 밝혔다. 우선 올해는 100억 원을 투입해 약 50개 기업을 지원한다.
적용 대상은 서울 소재 중소ㆍ벤처기업의 상용화 직전 제품 또는 서비스이다. 서울시 본청과 서울교통공사, 서울시설공단 등 투자출연기관, 사업소의 각종 시설물과 현장에서 최대 1년 간 적용하고 테스트 할 수 있고, 실증사업비로 최대 5억 원까지 지원한다.
실증을 통해 성능과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에는 ‘성능확인서’도 발급해 향후 각 기업에서 국내ㆍ외 판로 확대를 위한 레퍼런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내년부터 전 기관ㆍ부서별로 ‘혁신제품 구매목표제’를 도입하고 ‘적극행정 면책제도’를 적용하는 등 서울시가 구매처가 되어 적극적으로 공공구매에도 나선다.
서울시는 “최근 기술창업이 붐을 이루고 있지만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혁신기술을 개발하고도 초기시장 형성과 판로개척이 어려워 사업화가 진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사업화에 성공하더라도 실제 판매ㆍ납품 실적 없이는 기존 시장의 진입장벽을 뚫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해 시범사업을 통해 12개 기업에 테스트베드를 제공 중이며, 미국, UAE, 태국 등 해외진출을 준비 중인 기업도 있다.
특히 ㈜토이스미스는 현재 지하철 5호선에서 IoT 센서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지하철 혼잡도와 선로상태 등 환경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실증 중이며, 태국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텔로팜은 청계천, 서울월드컵경기장 등에서 스마트센서를 이용한 도시나무 원격 건강검진 기술을 테스트 중에 있다.
서울시는 채택된 제품과 서비스의 실증과정 전반을 조율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서울산업진흥원에 전담기구인 ‘테스트베드 사업단’을 조직해 7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부서간 협업 조율을 총괄하고, 시정에 혁신적인 서비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운영상 개선점을 도출,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테스트도시 서울’은 온라인 플랫폼 ‘신기술 접수소’를 통한 24시간 상시 접수→전문 평가위원회의 공정하고 신속한(8주 내) 평가→최대 1년 간 테스트베드 제공 및 ‘성능확인서’ 발급→실증을 통해 안정성ㆍ성능 검증 제품ㆍ서비스에 대한 공공구매 확대 순으로 추진된다.
우선, 테스트베드 서울은 △실증 기회와 사업비를 종합 지원받을 수 있는 ‘R&D지원형’ △시가 실증 장소만 제공하는 ‘기회제공형’ 두 가지로 추진된다. 기회제공형의 경우에는 기존 대기업과 중견기업도 참여 가능해 혁신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에서 ‘신기술 접수소’를 통해 참여를 신청하면 → 산업ㆍ기술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2단계(서면ㆍ대면) 심사를 통해 제품의 혁신성과 안전성 등을 종합검토 → 최종 참여 기업과 제품ㆍ서비스를 확정한다. 시는 공정하고 전문적인 평가를 위해 핀테크, 인공지능, 바이오 등 7개 분야 총 200명의 전문 심사위원 풀을 구성해 평가위원회를 운영할 계획이다.
최종 선정된 기업은 제품ㆍ서비스가 실제 사용될 현장의 소관부서(수요처)와 함께 계획을 수립한 후 최장 1년 간 현장실증에 들어가게 된다. 담당부서에서는 제품을 사용하면서 성능과 이상 유무 등을 점검‧기록하고 실증기간 종료 후 그 결과를 평가해 ‘성능확인서’를 발급한다.
서울시 각 기관ㆍ부서별로 혁신제품 공공구매를 촉진하도록 혁신제품ㆍ서비스에 대한 수의계약 한도액을 법정 최고액인 2000만 원(현재 1500만 원)으로 상향하고, 내년부터는 서울시 전 기관ㆍ부서별로 ‘혁신제품 구매목표제’를 도입한다.
혁신 제품ㆍ서비스에 대한 실증이나 구매 업무 처리 시 적극적으로 업무를 처리한 결과에 대해서는 적극행정으로 간주하여 책임을 묻지 아니하는 이른 바 ‘적극행정 면책제도’를 적용하고, 실증지원과 공공구매를 부서 평가지표에 포함해 실적이 우수한 부서와 담당자에게는 인센티브도 부여해 구매실무자 차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지자체에서 현장실증을 통해 검증완료된 제품ㆍ서비스에 대해 수의계약을 통해 구매할 수 있도록 정부에 제도개선을 건의할 예정이다.
조인동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혁신기업이 가장 절실하게 생각하는 것이 안전성, 적용가능성 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술 실증과 매출 신장인 만큼 서울의 모든 공공 인프라를 혁신기술의 테스트베드로 개방하고, 시가 가진 방대한 정보, 구매역량을 적극 활용해 혁신기업들의 성장을 위한 즉각적이고 실효적인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