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이 현장 계약직 직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제도를 정례화하기로 했다. 경기 악화로 고용 한파를 겪는 건설업계는 "이례적"이라는 반응이다.
1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건설은 올해를 시작으로 매년 현장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정규직 전환 등 고용형태 전환에 나선다.
올해는 내달 1일부로 이번 제도에 따른 첫 번째 고용형태 전환이 실시된다. 이후부터는 매년 1월 1일에 정기적인 전환이 이뤄진다.
이번 정례화 추진은 현장경영 지원 차원에서 현장에 있는 전문직·일반직 계약직원의 업무 몰입 및 역량 향상을 위해서라는 것이 포스코건설의 설명이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현재 사업단별로 고용형태 전환을 위한 면접을 진행하고 있다”며 “전환 규모는 면접을 다 마치지 않았기 때문에 미정인 상태”고 밝혔다.
이어 “현재 건설 경기 악화로 꺾인 현장계약직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는 것이 과제인데, 이러한 일환 중 하나가 고용형태 전환이다”고 설명했다.
이번 정규직 전환 대상은 총 경력 5년 및 포스코건설 경력 3년 이상인 동시에, 일정 수준 이상의 인사고과 기록과 어학 성적을 필수 요건으로 갖춰야 한다. 면접에서는 조직 적합성, 업무 전문성, 성장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로 했다.
건설업은 수주산업 특성상 프로젝트별로 현장에서 따로 계약직을 채용한다. 이를 프로젝트계약직(PJT)이라고 칭하는데 해당 프로젝트의 준공 예정일이면 계약이 종료되는 일종의 비정규직 형태다.
업계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나서고 있지만 건설사가 이 같은 행보에 발맞추는 건 이례적인 모습으로 평가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PJT 직원 중에서 정규직 전환이 이뤄지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극히 일부다”며 “수주가 있다가 없다가 하니깐 정규직 전환에 과감히 나설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고 말했다. 실제 최근 대형 건설사들도 정규직 직원을 늘리기보단 계속해서 줄이는 추세다. 정부 규제로 인해 주택 경기는 꺾이고 해외 수주 환경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순위 상위 5개 건설사(삼성물산·현대건설·대림산업·GS건설) 중 올해 1분기 정규직 직원 수가 지난해보다 늘어난 곳은 한 곳도 없다.
전혜선 열린노무법인 노무사는 “상위 10대 건설사를 보면 프로젝트 단위별로 계약하는 PJT직원이 전체의 30%가량 있는데, 3년짜리 프로젝트를 3번 옮기면 9년간 비정규직으로 있는 경우도 있다”며 “건설이 수주산업이다 보니 PJT 고용을 통해 완충 효과를 노리는 것인데, 이번 정례화는 고용 안정화 차원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고 평가했다.
또한 건설 현장의 관리직을 맡고 있는 한 관계자는 “주택 시장이 침체 방향으로 흐르긴 하지만 아직 아파트 공사 현장은 많다”며 “그래서 능력 있는 PJT 직원에 대한 구인난이 여전히 나타나고 있는데, 포스코건설의 정규직 전환 시도가 인재 유지·확보 경쟁력에서 앞서게 하는 부분이 있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