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주요 대기업 10곳 중 7곳, 근로시간 관리제도 도입했다"

입력 2019-06-16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업 인력 운영에 부담되는 정책은 육아휴직ㆍ직장어린이집 설치...인센티브 강화해야"

(사진 제공=한경연)

근로시간 단축, 일·생활균형제도가 확대되면서 주요 대기업들이 업무 효율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집중근로시간제 등 근무시간 관리 제도를 가장 많이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경제연구원이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일‧생활균형제도 현황’(144개사 응답)을 조사한 결과, 68.8%의 기업이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 문화 확산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집중근무시간제, 협업시간제 등 근무시간 관리제도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뒤이어는 ‘보고·결재 업무처리가 가능한 모바일 시스템 구축 등 전자결재시스템 개편’(56.3%), ‘보고자료 간소화, 회의 자제 등 보고·회의문화 개편’(52.1%), ‘자율좌석제 등 근무환경 유연화’(24.3%) 순(복수응답)으로 실시 중이라고 응답했다.

응답 기업들은 지난해 7월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이 일·생활균형제도에 미친 가장 큰 영향으로 ‘근로시간 관리 강화’(53.5%)를 꼽았다. 나머지 응답은 ‘유연근무제 확대’(41.0%), ‘회식·휴가 및 여가 활용 문화 개선’(38.9%) 순(복수응답)이었다.

응답 기업 중 유연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는 곳은 56.3%로 나타났다.

작년 주 52시간 근무 시행으로 추가로 도입된 유연근무제 중에서는 ‘탄력적 근로 시간제’가 65.4%로 가장 많았다. 이밖에 ‘시차출퇴근제’(37.0%), ‘선택적 근로 시간제’(35.8%), ‘사업장 밖 간주근로 시간제’(14.8%)가 뒤를 이었다.

그 결과 현재 기업(81개사)들은 유연근무제 중 ‘탄력적 근로 시간제’(66.7%)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시차출퇴근제’(51.9%), ‘선택적 근로 시간제’(44.4%), ‘사업장 밖 간주근로 시간제’(22.2%) 순(복수응답)으로 응답했다.

육아 휴직자 중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16.2%로 지난해 13.6%에 비해 2.6%p 상승했다.

출산·육아지원 제도 시행에 따른 애로 요인으로는 ‘동료 직원의 업무 부담 증가’(54.2%)와 ‘휴가·휴직 급여, 대체인력 채용 등 인건비 상승’(11.1%), ‘남성 중심적 조직문화’(11.1%) 및 ‘직무 연속성 결여로 생산성 저하’(7.6%)를 꼽았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 중에서는 ‘육아 휴직 및 급여 지원’(47.1%)이 근로자들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유연근무제 시행 장려금, 시간선택제 전환 인건비 지원 등 사업주 지원’(14.6%),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화’(14.6%) 순이었다.

한편 정부 정책 중 기업의 인력 운영에 실제로 가장 부담이 되는 제도 역시 ‘육아 휴직제도’(36.8%)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화’(35.4%)도 기업이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생활균형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일에 대해서는 ‘실시 기업 지원금 인상 및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강화’(38.2%)와 ‘법적 규정 마련 및 위반 사업장 감독 강화’(24.3%), ‘대체인력 채용 지원 강화’(15.3%) 등을 꼽았다.

올해 기업들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일·생활균형과 관련 제도는 ‘일하는 문화 변경’(68.8%), ‘유연근무제 시행’(51.4%), ‘출산 및 육아 지원’(20.8%) 순(복수응답)이었다.

추광호 한경연 실장은 “응답 기업의 72.2%가 육아휴직, 직장어린이집 설치 등으로 부담을 느끼고 있어 실시 기업에 대한 지원금 인상・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