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은 자본시장1부 기자
국내 퇴직연금 시장 규모는 190조 원. 하지만 퇴직연금의 수익률은 1.01%(지난해 말 기준)에 그친다. 최근 5년으로 환산해도 1.88%에 그쳐 은행의 순수저축성 예금금리(1.99%)를 밑돈다. 적립금의 90%에 달하는 돈이 예·적금 등 원리금 보장형에 쏠려 있는 시장 구조가 낮은 수익률로 이어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사실상 물가상승률을 감안한다면 오히려 마이너스(-)라는 지적이 나온다. 자산운용 관계자는 “액수가 그대로 보존된다고 해서 그 퇴직금이 원금보장형은 될 수 없다”면서 “짜장면 10그릇 살 수 있는 돈이 8그릇밖에 살 수 없는 돈이 됐다면 결국 원금은 손실된 것과 마찬가지”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이에 진정한 원금 보장, 노후소득 증대를 위해 기금형 퇴직연금제도와 디폴트 옵션 제도 도입 논의가 탄력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제도 도입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업계 관계자는 “디폴트 옵션 제도가 신탁 형태로 연금을 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지시가 없더라도 고객의 성향 파악 후에 관련 상품에 투자하게 되지만, 어떤 투자 상품이든 ‘원금을 까먹을 수 있는 위험’을 수반한다는 인식 때문에 제도 도입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투자에 대한 인식이 바뀌지 않으면 관련 제도의 도입도, 퇴직연금시장의 질적·양적 성장을 기대하기도 어렵다고 진단한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이 ‘피 같은’ 퇴직금을 투자상품에 맡기는 것을 꺼린다. 아직까지 사람들 인식 속에 ‘투자’에 따라붙는 이미지가 ‘수익’보다는 ‘리스크’가 더 강하기 때문이다. 결국 시장에 대한 신뢰가 쌓이고 투자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지 않으면 지금과 같은 ‘원금 보장’에 대한 집착은 이어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