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수출 급감이 주요인
한국경제연구원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1.9%로 전망했다. 이전 전망치보다 0.3%p 하향 조정된 수치다.
한국경제연구원은 8일 ‘KERI 경제 동향과 전망: 2019년 3/4분기’ 보고서를 통해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수출 위축, 투자 둔화 폭 확대, 소비 흐름의 둔화 등에 따라 경제 성장 흐름이 악화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무엇보다 지난해 경제성장을 견인해 왔던 수출의 급격한 감소가 올해 성장 흐름 악화를 주도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연은 “미·중 무역갈등의 격화, 글로벌 경기 하강에 따른 주요 수출상대국들의 성장률 둔화, 반도체와 주요 수출품목의 가격경쟁력 상실 등 전반적인 교역조건 악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까지 겹치면서 대외 불확실성이 증폭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건설, 설비 등 극심한 투자 부진과 민간소비 둔화 역시 성장 전망 악화에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이미 마이너스(-)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설비투자는 어두운 수출전망 및 극심한 경기 부진에 따른 증설 유인 부족으로 둔화 폭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투자 역시 정부의 부동산 억제정책과 추가적 규제조치로 투자가 부진할 전망이다.
그동안 내수부문의 버팀목 역할을 하던 민간소비도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 부진으로 명목 임금상승률이 많이 감소한 가운데 소비심리의 지속적인 악화,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 자산 가격 하락의 영향이 가시화되면서 직전 전망치보다 0.4%p 감소한 1.9%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연 측은 “성장의 하방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인이 대내외적으로 산적하다”고 밝혔다.
대내적으로는 주식·부동산 등 자산가격 하락, 자본시장의 변동성 확대, 명목 임금상승률 둔화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노동시장 유연성 약화에 따른 생산성 하락이 있었다.
대외적 요인은 미·중 무역갈등의 격화, 한·일 무역갈등의 부각, 주요국들의 성장률 하락으로 인한 대외수요 감소, 반도체 업황부진 지속, 국제자본시장 불확실성 증대 등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목표물가상승률에 크게 못 미치는 0.5%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인건비의 큰 폭 상승에도 경기의 급격한 위축에 따른 낮은 수요압력, 서비스 업황 부진 그리고 가계부채·고령화 등의 구조적 원인이 물가상승에 대한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상수지는 세계경기 하락 및 무역분쟁 심화의 영향으로 상품수지의 흑자 폭이 크게 줄어드는 가운데 서비스수지의 적자 기조가 지속하면서 지난해보다 284억 달러 감소한 480억 달러 수준에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원⋅달러환율의 경우 1175원 수준으로 지난해 평균환율(1089원)에 비해 절하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