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19년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일자리 증가분 과반이 60대 이상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전년 동기보다 50만3000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건·사회복지와 도소매업에서 큰 폭으로 늘어난 가운데, 60대 이상이 전체 증가분의 과반을 차지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19년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1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824만8000개로 전년 동기보다 50만3000개(2.8%) 증가했다. 임금근로 일자리는 고용보험 등 행정통계로 파악된 일자리다. 1개월간 계속근로 시 1개로 집계되며, 계속근로기간이 1개월 중 15일이라면 0.5개로 계산된다.
일자리 증가의 배경 중 하나는 일자리안정자금을 비롯한 정책 효과다. 최저임금 인상분을 재정으로 일부 지원하는 일자리안정자금을 받으려면 고용보험에 가입해야 해서다. 기존에도 존재했지만 행정통계로는 파악되지 않던 일자리들이 반영되면서 일자리가 늘어난 것이다.
산업별로 구성비가 가장 큰 제조업은 420만5000개로 2만 개 감소했다. 박진우 통계청 행청통계과장은 “조선업은 한참 안 좋다가 다시 살아나고 있지만 여전히 안 좋고 자동차와 섬유, 통신장비와 디스플레이 쪽도 업황이 안 좋다”고 설명했다. 건설업과 사업·임대 일자리도 각각 5만6000개, 4만2000개 감소했다. 건설업은 전반적인 업황 부진의 영향으로 일자리가 줄었다. 사업·임대 일자리는 간접고용이 직접고용으로 전환되면서 일부 산업 간 이동이 발생했다.
보건·사회복지와 도소매업에선 일자리가 각각 17만3000개, 8만6000개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와 60대 이상이 각각 18만7000개, 28만2000개 늘었는데, 주로 두 산업에 유입됐다. 50대는 보건·사회복지에서 4만8000개. 도소매에서 3만2000개, 제조업에서 2만4000개 늘었고, 60대 이상은 보건·사회복지에서 9만8000개, 협회·수리·개인에서 3만3000개 늘었다. 50대 이상 일자리 증가는 노인 일자리 등 정책 영향이 크다. 박 과장은 “아무래도 정부 정책의 영향으로 그쪽 연령대에서 보건·사회복지 일자리가 증가한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단 보건·사회복지와 도소매업은 지속 일자리 비율이 각각 62.5%, 65.2%로 전체 평균(67.7%)보다 낮았다. 협회·수리·개인도 지속 일자리가 61.1%에 불과했다. 지속 일자리 비율이 낮다는 건 고용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의미다.
한편, 40대 일자리는 전년 동기보다 2만 개 감소했다. 절대인구가 줄어든 데 더해 제조업이 부진했던 탓이다. 성별로는 남자 일자리가 13만6000개(1.3%) 늘 동안 여자는 36만7000개(5.1%)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중 여자 비율은 전년 동기 40.5%에서 41.4%로 0.9%포인트(P)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