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한국철도공사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면서 시멘트 업계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직접적인 타격을 받게 될 공산이 높기 때문이다.
22일 시멘트업계에 따르면 철도 파업에 들어가기 전인 지난달 11월 시멘트 일평균 철도 수송량은 일 평균 4만 톤이었다. 20일 철도 파업이 시작되자 일평균 수송량은 30% 이하인 1만톤 수준으로 내려갔다.
철도 파업은 내륙에 위치한 한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 성신양회 등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삼표와 쌍용양회 등 해안에 위치한 연안사의 경우 물류 수송의 70% 가량을 선박에 의존하고 있지만, 내륙사의 경우 약 50% 가까운 수송량이 철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일시멘트 등 내륙사들은 철도 파업의 조짐이 있던 시점부터 유통기지 저장소 등에 재고를 채우는 등 대비책을 갖춰놓아 영업일 기준 각 저장소마다 3~5일 정도는 버틸 여력이 있다. 하지만 비축한 재고가 떨어질 만큼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엔 저장소의 재고만으로 수요를 충당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밖에 벌크트럭 등의 육송으로 대체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역시 녹록치 않다. 벌크트럭의 공급량 자체가 철송을 모두 대체할 만큼 충분하지 못할 뿐 아니라, 지리적으로 철도가 가까운 지역의 경우 철송을 육송으로 대체할 경우 큰 비효율이 발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역대 최장기 철도 파업이 있었던 2016년 당시 업계에서 추산한 피해액은 약 300억원 규모로 추정되고 있다. 올해 시멘트 업계는 업황의 악화로 업계 전체 당기순이익이 500억원 정도로 추산되기 때문에, 당시와 비슷한 기간의 파업이 이어진다면 업계에 치명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멘트 업계의 타격은 나아가 시멘트를 주 원료로 하는 레미콘 업계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시멘트 업계 한 관계자는 “파업이 장기화 된다면 사실상 마련할 수 있는 대책이라는 것은 없다고 봐도 된다”며 “육송으로의 대체하는 방안이 있다 해도 수송량의 차이 문제, 대기시간 지연 문제 등으로 수송비가 늘어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한계가 있는 대책”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