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기준 성과보수 공모펀드 운용 규모 416억 원…연초 대비 63억 원↓
금융당국이 공모펀드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입한 성과보수 공모펀드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운용사가 안정적인 보수를 얻을 수 없어 출시에 소극적인 가운데, 고객은 성과보수 펀드가 더 좋은 수익을 낸다는 보장이 사라지자 외면하는 분위기다.
24일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현재 14개의 성과보수 공모펀드의 총 운용 규모는 416억 원으로 연초와 비교해 약 63억 원(13.1%)이 감소했다.
운용 규모가 제일 큰 ‘트러스톤정정당당성과보수1-2(주식)C-A’는 연초 대비 48억7000만 원 증가한 109억 원을 운용하며 비교적 선방했다.
하지만 ‘삼성EMP글로벌로테이션성과보수(주식혼합-재간접)-C’은 38억4800만 원 감소한 58억 원, ‘대신로보어드바이저자산배분성과보수(혼-재간접)C’는 55억6000만 원 줄어든 44억 원으로 운용 규모가 줄어들었다.
특히 14개 펀드 중 11개 펀드는 운용 규모가 50억 원 이하인 이른바 ‘자투리 펀드’ 신세를 면치 못했다. 금융당국은 설정ㆍ설립 이후 1년이 되는 날에도 원본액이 50억 원 미만인 펀드는 운용사들이 5% 이하 비중으로 유지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운용사들은 2월 말, 5월 말, 9월 말, 12월 말이 도래할 때마다 소규모 펀드 비중을 유지해야 하는데, 유지하지 못하면 시기별 소규모 펀드 감축ㆍ유지 계획을 수립하고 금융감독원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설정 이후 1년이 지나고도 운용 규모가 50억 원에 밑돌아 존폐 위기에 처한 성과보수 펀드는 모두 9개다.
성과보수 공모펀드는 금융당국의 필요로 2017년 6월부터 출시되기 시작했다. 당시 운용사들은 펀드에서 손실이 나도 펀드 납입액의 일정 비율로 운용 수수료를 떼어간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원회는 이전 5억 원 이상 투자가를 대상으로만 걷을 수 있던 성과보수 조건을 폐지했다. 공모펀드를 활성화하는 대안으로 성과보수 펀드를 제시한 셈이다.
성과보수 펀드는 운용사가 기본 운용보수를 받지 않거나 연 0.2% 이하 수준으로 대폭 낮추는 상품이다.
기본 운용보수가 최대 일반 주식형 공모펀드(연 0.4~0.5%)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나 펀드 수익(이익금)에 대해 추가로 10~20% 안팎의 성과보수를 떼 수익성을 담보하게 된다. 즉, 운용사가 올린 수익률만큼 벌어들이는 구조다.
동시에 성과보수 펀드로 유도하기 위한 조건도 생겼다. 금융당국은 신규 공모펀드는 원칙적으로 성과연계형으로 설정하도록 하고, 운용사가 시딩(Seeding) 투자를 하면 예외로 허용하도록 한 것이다. 종전처럼 수수료를 받는 펀드를 만들려면 자기자본 2억 원을 넣는 방식으로 ‘책임운용’ 부담을 지운 것이다.
이에 2017년 6~7월 성과보수 공모펀드들이 일제히 출시됐으나 이후부터 운용사들은 출시에 소극적으로 변했다. 한 자산운용사의 상품전략 담당자는 “자산운용사들은 보수가 주된 수익원인데 꾸준하게 받을 수익을 내려놓고 ‘퍼포먼스 피’(Performance fee)에 집중하긴 다소 부담스러운 것이 현실이다”며 “때문에 보유자금 2억 원을 펀드에 넣고 성과보수는 채택하지 않는 것이 당연한 관행처럼 됐다”고 말했다.
문제는 성과보수 펀드가 시장성 면에서도 투자자를 유인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투자자들이 펀드 상품을 선택할 때 보수 체계보다 실제 성과를 따지기 때문에 성과 없는 성과보수 펀드가 투자자에게 큰 매력으로 다가서지 못한 것이다. 실제 성과보수 펀드 14개의 최근 3개월 평균 수익률은 2.07%에 그쳤다. 이 기간 코스피 지수는 5.39% 올랐고, 국내주식 펀드도 평균 5.58% 수익률을 달성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성과보수 공모펀드 중 큰 성과를 보인 펀드가 없다는 점도 시장으로부터 관심이 사라지는 이유다”며 “공모펀드는 아무래도 판매사의 힘이 큰데 성과보수 펀드는 소규모 펀드가 많다 보니 판매사의 고려 대상에서 점점 소외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