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주요 대도시에 적용 가능…기능을 우선해 네모반듯한 모양새 갖춰
현대자동차가 제시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의 배경은 교통지옥으로 악명높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였다. 육상 이동을 책임지는 ‘목적 기반 모빌리티’, 이른바 PBV(Purpose Built Vehicle) 디자인 역시 샌프란시스코 도심의 궤도전차 ‘트램’에서 착안했다.
이상엽 현대차 디자인센터장(전무)은 'CES 2020' 개막을 하루 앞둔 6일(현지시각) 라스베이거스 만델레이 컨벤션에서 기자들과 만나 “목적 기반 모빌리티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도심의 궤도열차 트램 디자인에서 착안했다”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개막전 미디어 간담회를 ‘끊어짐 없는 이동의 자유’를 강조하며 세 가지 모빌리티 솔루션을 공개했다.
세 가지는 도심 항공 모빌리티 △UAM(Urban Air Mobility)과 육상 이동을 목적으로 한 목적 기반 모빌리티 △PBV(Purpose Built Vehicle), 그리고 이 둘을 연결하는 환승 거점 △허브 등이다.
현대차가 제안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의 배경은 미국 샌프란시스코다. 세계에서 교통체증으로 악명높은 도시 5곳 가운데 하나다.
미래 모빌리티 대안 가운데 육상 이동을 책임지는 PBV는 환승 거점과 이른바 ‘도킹 시스템’으로 맞물린다. 허브에서 빠져나온 PBV 디자인은 샌프란시스코 ‘트램’에서 착안했다.
PBV 디자인을 주도한 이상엽 현대차 디자인센터장(전무)은 “대도시 도심 차량정체에 대한 솔루션을 만들기 위해 샌프란시스코를 대상으로 삼았다”며 “목적 기반 모빌리티 PBV는 샌프란시스코 도심 레일로 이동하는 ‘트램’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말했다.
현대차가 제안한 PBV는 네모반듯한 상자 모양의 육상 이동체다.
이 전무는 “자동차의 실내가 운전자의 공간이라기보단 이제 탑승자 전체의 생활공간으로 바뀐다”라며 “생활의 공간이라면 삶의 공간 확장으로 보면 될 거 같다. 허브라는 공간과도 다른 점은 하나는 움직이고 하나는 움직이지 않는 차이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현대차가 고안한 PBV는 개인 사무실 용도부터 가정집까지 활용도가 다양하다.
예를 들어 푸드트럭과 커피 전문점, 빵 가게 등으로 이뤄진 PBV가 하나의 허브에 도킹하면 허브는 그 순간 ‘먹거리 장터’가 된다. 치과와 내과, 약국 PBV 하나의 허브에 모이면 해당 허브는 곧 병원이 될 수도 있다.
네모반듯한 모양의 PBV는 자동차의 개념보다 이동체에 가깝다.
이 전무는 “PBV의 최고 속도는 시속 50km 미만이다. 형태 자체도 그렇고 실내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했고, 생활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했다”며 “시속 50km 미만이기 때문에 일반 자동차에 적용되는 다양한 법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됐다. 그만큼 실내장식 등에서 디자인 자유도가 높았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아이디어는 샌프란시스코 도심 환경에서 착안했으나 이곳을 시범운행 지역으로 삼지는 않는다. 글로벌 전역에 자리한 거대 도시가 모두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의 대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전무는 “새로운 개념으로 이해해달라. 어느 도시에서나 할 수 있고 그 도시에 맞춰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도시마다 법규나 환경 다 다른 만큼, 똑같이 하나의 모양을 만들어 적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양성에 무게를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