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또 자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을 물고 늘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스위스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에서 CNBC와 인터뷰를 갖고 “연준이 금리 인상만 하지 않았으면 미국 경제성장률이 4%에 도달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CNBC가 지난해 성장률이 왜 2%에 머물렀다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첫째 이유로 연준 때문이라고 답한 것이다.
그는 “연준의 금리 인상은 일어나지 말았어야 할 실책이었다”면서 “지난해 금리 인하 전 빠르게 인상만 하지 않았으면 다우지수가 5000~1만 포인트는 더 올랐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우지수는 최근 2만9000선을 넘어서는 등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트럼프는 연준과 자신이 임명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계속 공격해 왔다. 2017년 11월 파월 의장 임명 후 연준은 2018년 4차례 금리를 올렸다. 하지만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자 지난해 세 차례 금리를 인하한 뒤 12월에 동결했다.
4% 성장 가능성을 연준이 막았다는 트럼프 주장에 대해 뉴욕타임스(NYT)는 전문가를 인용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전문가들은 2015년부터 2018년 말까지 9차례에 걸친 금리 인상이 기업 투자와 주택 시장을 압박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그 영향으로 성장률이 2%p 감소했다는 것은 무리한 주장이라는 설명이다. 또 트럼프가 시작한 무역전쟁이 기업 투자와 시장 심리에 얼마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제대로 가늠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기업 투자 및 제조업 둔화는 분명한 현상이었지만 여기에 연준의 금리정책과 무역전쟁이 각각 얼마만큼 영향을 미쳤는지는 파악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기업들은 글로벌 성장 둔화 원인으로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지목하고 있기도 하다.
일부 전문가는 무역전쟁이 고조되면서 나타난 자본 투자 감소가 경제 성장률 감소에 더 큰 원인을 제공했다고 조심스럽게 추정하기도 했다.
한편, 트럼프가 약속한 4% 경제 성장은 앞으로도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한 감세와 재정지출로 성장률이 2%대를 유지했지만 향후 인구 고령화로 인한 생산성 감소가 뚜렷해질 것이라는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