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인사이트] ‘라임 불똥’ 튄 기업은행…윤종원 행장 실무능력 시험대

입력 2020-03-06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내부직원, KPI 항목 폐지 등 사후대책 수립 성명서 발표

IBK기업은행이 라임사태 이후 사후대책 수립을 촉구하는 내부 직원들의 목소리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앞서 기업은행은 지난해 6월부터 7월까지 라임펀드 상품을 600억 원가량 판매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되면서, 국책은행의 부실한 상품 관리와 검증 능력으로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이에 취임 2달째를 맞는 윤종원 행장의 실무 능력 또한 도마에 오르고 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 내부에서는 환매 중단된 라임자산운용의 부실펀드를 편입한 상품을 600억 원가량 판매한 것과 관련해 성명서까지 발표됐다. 이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경영진의 사후 결과 조치가 미흡하다는 이유에서다. 해당 성명서에는 윤 행장이 취임 당시 직원들에게 약속한 ‘금융 공공성 강화를 위한 비이자수익 감축 및 경영평가 개선 방안 강구’ 이행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비이자수익은 이자를 제외한 수수료 수익을 말하는데, 펀드 및 신탁 수수료가 여기에 해당한다. 은행이 비이자수익 목표를 낮추고 직원들을 평가하는 핵심성과지표(KPI)에서 비이자수익 지표를 폐지하면, 불완전판매를 수반하는 과도한 영업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직원들의 주장이다.

일각에서는 기업은행이 국책은행으로서 라임사태와 관련해 가장 먼저 모범적인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대표는 “국책은행은 불완전판매에 있어서 감독과 관리를 일반 시중은행보다 더욱 엄격히 해야 하는데 그 역할을 다하지 못 했다”면서 “기업은행은 국책은행으로서 직원들의 과도한 영업을 막아 고객 수익을 지키는 것을 가장 중요시 해야 하는 기관”이라고 말했다.

기업은행과 달리 타 시중은행은 올해부터 KPI에서 비이자수익 지표를 전면 폐지하거나 해당 지표의 비중을 대폭 감소하는 등 선제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파생결합펀드(DLF)·파생결합증권(DLS) 사태와 라임펀드 사태가 연달아 터지면서, 직원들의 영업 부담을 줄이고 고객중심을 최우선 가치로 두겠다는 의도다.

KB국민은행을 비롯해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4개 은행은 모두 올해 KPI에서 비이자수익 항목을 폐지했다. 농협은행은 1000점 만점인 KPI 점수에서 비이자수익 항목 점수를 150점에서 80점으로 대폭 줄였다.

윤 행장도 타 시중은행처럼 취임 이후 기업은행의 라임사태 해결을 업무 1순위에 둘 것이라는 주변의 예상과 달리, 국책은행으로서 뚜렷한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내부 직원들도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향후 은행 공동대응반에 적극 참여하는 등 라임사태로 인한 고객 피해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KPI개편과 관련해서는 비이자수익 목표 감축이 아닌 불완전판매 우려가 큰 항목들에 대한 경영 평가 지표를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