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이례적 일요일 행동과 동시에 6개 주요 중앙은행 달러 공급 안정 ‘공조’…각국 중앙은행, 금리 인하·양적완화 도미노 현상도
연준이 15일(현지시간) 임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제로(0)금리와 양적완화(QE) 등 금융위기 당시 수준의 대응책을 부활시킨 것에 대해 시장은 여러모로 충격적이라고 평가했다고 미국 CNBC방송이 전했다.
연준은 17~18일 정례 FOMC를 앞두고 당국자들이 통화정책에 대한 발언을 삼가는 이른바 ‘블랙아웃’ 기간임에도 오히려 임시 FOMC를 열어 새 정책을 결정했다. 임시회의 개최 시기도 일요일이어서 16일 증시 등 시장이 열리면 코로나19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하겠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보였다. 뉴욕증시 다우지수가 지난주 하루 2000포인트 이상 오르내리는 등 금융시장이 극도로 불안정해졌다. 이에 신속한 의사결정으로 시장에 서프라이즈를 안겨 투자심리를 개선하려 한 것이다.
CNBC는 연준이 이번 주 잡힌 정례 FOMC를 아예 취소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미 제로금리와 양적완화 등 바주카포를 쏜 상황이어서 추가 회의가 불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여전히 연준이 정례 회의를 열어 코로나19가 경제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구체적으로 판단하고 제시할 가능성도 있다.
앞서 연준은 리먼브러더스 파산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일어나자 2008년 12월 기준금리를 0.00~0.25%로 낮추면서 제로금리 시대를 열었다. 이후 2009년부터 총 3차례의 양적완화를 단행했다. 그러나 미국 경제가 회복되고 시장이 안정을 찾자 2013년 양적완화 규모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테이퍼링’에 착수하고 나서 2014년 10월에는 아예 종료했다. 뒤이어 2015년 말 제로금리 정책을 끝내고 이후 금리 인상 등 금융정책 정상화에 나섰다.
그러다가 지난해 미·중 무역전쟁을 경계해 3차례나 금리를 인하하는 등 통화정책 모드를 긴축에서 완화로 전환했다. 올해는 코로나19라는 미증유의 상황에 이달 들어 불과 2주 사이에 금리를 1.5%포인트 낮추는 등 금융위기 때와 같은 비상시국이 펼쳐지고 있다.
연준의 카드는 이뿐만이 아니었다. 연준과 유럽중앙은행(ECB), 일본은행(BOJ), 영란은행(BOE), 캐나다중앙은행, 스위스중앙은행 등 6개 글로벌 주요 중앙은행은 이날 미국 달러 스와프 금리를 낮추는 등 공조를 강화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민간은행에 달러를 공급하는 경우 적용하는 스와프 금리를 종전보다 0.25%포인트 인하한다. 또 기존 1주일 단위였던 스와프 오퍼레이션에 84일 만기 오퍼레이션도 추가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금융시장 동요로 달러 수요가 급증한 가운데 여기에 발맞춰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의도다. 이렇게 6개 중앙은행이 공조에 나서는 달러 자금 공급 틀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도입한 것이다.
각국 중앙은행이 도미노처럼 연준의 금리 인하와 양적완화를 따라 하는 현상도 빚어지고 있다.
홍콩 중앙은행 격인 홍콩금융관리국(HKMA)은 16일 기준금리를 종전의 1.50%에서 0.86%로, 0.64%포인트 낮췄다. 홍콩은 달러페그제를 채택, 통화정책이 연준과 연동된다.
뉴질랜드중앙은행도 같은 날 금리를 종전의 1.00%에서 0.25%로, 075%포인트 인하하고 최소 향후 12개월간 이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추가 부양책이 필요하다면 뉴질랜드 역사상 처음으로 양적완화를 실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BOJ는 당초 18~19일로 예정됐던 금융정책결정회의를 16일로 앞당기며 다른 중앙은행과 보조를 맞췄다. 기준금리는 -0.1%로 동결하되 ETF 매입액을 연 12조 엔으로 2배 늘리기로 했고, 대기업 회사채와 기업어음 매입, 중소기업 자금조달 지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브라질과 터키 등 다른 중앙은행들도 이번 주 정례 회의가 잡혀 있는 가운데 공격적인 경기부양책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중앙은행이 전투적인 통화정책 완화에 나섰지만, 시장은 이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며 각국 정부의 재정적 부양책을 촉구하고 있다. 주요 7개국(G7) 정상들은 16일 밤 이례적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화상 회의를 갖는다. G7 긴급 회의를 주창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정상들이 백신 및 치료제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조정하고 금융과 재정적 대응책을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지난주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정부들이 코로나19에 안일하고 느리게 대응하고 있다”며 “과감한 재정정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