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의 자회사 에어서울이 지난해 완전 자본잠식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분기가 아닌 연간 단위로는 이번이 처음이다.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에어서울은 2015년 4월 설립 이후 해마다 부분 자본잠식 상태로 운영돼 왔다.
2016년부터 3년간 자본잠식률은 69.15%, 47.65%, 63.42%로 집계됐다.
2017년 50%를 하회한 것은 당시 국토교통부가 저비용항공사(LCC)를 대상으로 ‘자본잠식률 50% 이상 3년 지속’ 또는 완전 자본잠식의 경우 재무구조 개선 명령을 내리기로 결정한 데 따른 사전 조치였다.
그해 연말 에어서울은 감자를 통해 자본금을 줄이고 아시아나항공으로부터 유상증자를 통해 250억 원을 수혈해 잠식률을 50% 밑으로 낮췄다.
그러나 이듬해 다시 63.42%까지 높아진 데 이어 지난해엔 자본이 아예 마이너스(29억 원)로 전환하면서 완전 자본잠식에 빠졌다.
그 사이 부채는 622억 원에서 3732억 원으로 크게 늘었다.
실적의 경우 매출액은 2335억 원으로 전년 대비 5.45% 증가했지만 당기순손실은 91억 원을 기록하며 304.1% 불어났다.
이에 아시아나항공은 최근 에어서울을 상대로 100억 원의 대여를 결정했다. 그동안은 주로 유상증자를 통한 출자를 해온 아시아나항공이지만 이번엔 처음으로 상환 방식의 대여를 선택했다.
차입 대가로 에어서울은 갖고 있던 100억 원 규모의 금호산업 대여금 채권을 아시아나항공에 제공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항공사업법 개정으로 국토부의 개선명령 관련 조항이 강화되면서 에어서울을 향한 잣대도 더 엄격해졌다.
현행법에 따르면 1년 이상 자본잠식률 50%를 초과하거나 완전 자본잠식이 될 경우 재무구조 개선 명령 대상이 되고, 상황이 2년 이상 지속될 경우 면허 취소도 검토된다.
이에 올해 실적 반등 및 재무개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일본 불매운동에 코로나19 사태까지 더해져 항공 업황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기 때문이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분기 항공업종은 작년 연간 수준 이상의 영업적자를 기록할 전망”이라며 “항공사들은 고정비 부담이 높은데, 3월엔 사실상 국제선 여객 영업이 멈춰선 상황이라 손실 규모가 얼마나 커질지 예측하기 힘들다”고 전했다.
한편 다른 아시아나항공의 계열사들 역시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지난해 에어부산은 순손실 729억 원을 기록했고, 금호리조트와 금호티앤아이 역시 각각 327억 원, 191억 원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