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 등 내수ㆍ서비스산업 회복 속도↑…제조ㆍ항공업 등 회복 지연 전망
국내 경제가 이르면 다음달 코로나19 확산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경제활동으로 복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주요국보다 빠른 정상화가 이뤄질 경우 세계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3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에 따른 산업별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앞서 코로나 현상이 가장 빨리 발생한 중국의 사례에 비춰 산출한 추정치다. 다만 방역실패로 확진자가 재차 증가할 경우 비슷한 격리과정을 다시 진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정상적인 경제생활로의 복귀시점을 예측하는 것이 무의미해진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내수비중이 높은 유통 등 서비스업의 회복이 가장 먼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홈코노미(집에서 소비활동을 온라인으로 해결하는 행태)와 언택트 소비(불필요한 대면 접촉을 최소화하는 소비) 문화가 새로운 구매 패턴으로 정착될 것으로 예상했다. 교육산업의 경우에도 비대면 교육 서비스의 매력도가 높아지면서 에듀테크 시장의 중장기적인 안정 성장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자동차와 조선업 등의 제조업은 완성차 생산차질과 선박 발주 심리 위축 등으로 업황부진이 심화되고 있다. 철강산업도 자동차·조선 등 전방산업의 부진으로 인한 수급 악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제조업의 경우 우리나라의 경제활동이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하반기 이후로 완만한 반등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항공업 및 관광·숙박업은 글로벌 이동제한이 장기화되면서 업황 정상화가 4분기 이후로 지연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내 항공업계의 경우 정부지원 확대여부 및 코로나19 사태 장기화 여부 등이 주요변수이지만, M&A 등을 통한 저비용항공사(LCC) 대형화 등 구조재편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정유 및 화학업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산업 특성상 전 세계적으로 사태가 안정된 이후에야 업황 회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했다.
한편, 연구소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글로벌 공급망과 유통망의 변화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요국 공장의 연쇄적 셧다운으로 부품공급 중단 및 생산차질이 빈번해지면서, 위험을 분산할 유인이 확대될 것이라는 진단이다. 적시공급(JIT) 시스템에 대한 재고와 주요산업의 부품 및 소재의 공급선 다변화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유통망의 경우에도 물동량 감소로 재무구조가 튼튼한 대형업체 위주로의 사업재편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영준 산업분석팀장은 “적시공급 시스템에 대한 재고와 공급선 다변화 등은 기업의 비용 부담을 가중시킬 우려가 높다”면서 “항공산업의 경우 저비용항공(LCC) 업체를 중심으로 실적악화 및 재무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질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