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에서 건설사업을 수행 중인 국내 건설ㆍ엔지니어링 기업 25곳 가운데 22곳(88%)이 코로나19가 해외 건설사업을 수행하는 데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혹은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특히 착공을 앞둔 사업에 대해선 응답 기업 중 23곳(92%)이 '심각' 이상의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코로나19로 국제 경기가 하강하면 건설 투자도 함께 침체할 것이란 우려에서다. 최근 20년간 국제 건설시장은 전세계 국내총생산(GDP)과 거의 같은 폭으로 오르내렸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는 국제 건설시장이 2% 역성장했다. 인도네시아 같은 나라에선 인프라 예산을 코로나19 대응 예산으로 전용(轉用)하는 등 일찌감치 건설 투자를 줄이고 있다.
방역 조치 강화 역시 걸림돌이다. 현재 외국에서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한국 기업은 코로나19로 인한 애로 사항으로 ‘입국 제한 등으로 인한 인력 파견 어려움(29%)’을 가장 많이 꼽았다. ‘발주국의 행정 조치에 따른 현장의 축소 운영’이나 ‘현지 국가의 봉쇄 조치에 따른 현장 폐쇄’을 꼽은 기업 비중도 각각 21%였다.
건산연은 현재 한국 건설사가 수주한 102개 해외 건설 프로젝트 중 37개 사업이 중단되거나 공정이 축소된 것으로 파악했다. 연구진은 "나머지 65개 사업의 경우도 조사 시점까지 별도 정부의 지시는 없지만 자재 및 인력 수급의 문제로 코로나19가 확산 이전과 같은 정상적인 운영은 힘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앞으로도 문제다. 코로나19 이후 계약 예정 사업ㆍ수주 전망을 묻는 말에 해외 진출 건설ㆍ엔지니어링 기업 중 38%가 '계약 예정 사업 지연(38%)'를 우려했다. '수주 협의 지연(30%)'과 '발주 지연(28%)', '발주 취소(4%)'가 그 뒤를 이었다.
코로나19 여파 극복을 위한 정부 지원 방안으로는 '인력의 입국 제한 조치 완화 및 해제 노력 지속(35%)'을 요구하는 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어 ‘공기 연장에 따른 계약 분쟁 발생 시 법률 자문(27%)’, ‘국내 기업의 해외공사 코로나 19 대상 사례 공유(18%)’, ‘정부 차원의 방역용품 지원을 통한 국가 및 이미지 제고(15%)’ 순으로 지원을 요청하는 목소리가 컸다.
손태홍 건산연 연구위원은 “정부는 해외시장에 진출 개별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팬데믹 대응 가이드라인 수립, 입국 제한 등의 조치 완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 강화, 계약 클레임 법률 자문 지원, 해외사업 수행 기업의 코로나 19 대응 사례 공유, 코로나 19 종식 이후 시장 진출 전략 수립과 시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