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코로나19에 反中 감정 높아지지만…중국에 대항 가능성 불투명

입력 2020-05-16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코로나19 독립 조사 논란에 양국 갈등 시작…호주 수출서 중국 비중 25% 달해

▲호주와 중국의 교역액 추이. 단위 10억 호주달러. 2019년 2148억6000만 호주달러. 출처 월스트리트저널(WSJ)
호주는 중국과의 관계에 대해 그동안 무역 관계 중요성과 외교상의 우려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고 애써왔다.

그런 양국 관계에 이상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둘러싸고 호주는 공공연하게 중국을 비난하고 있다. 문제는 호주가 최대 무역 상대국인 중국에 실제로 대항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점이라고 1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진단했다.

호주 정부가 지난달 중순 코로나19 초동 대응에 어떤 잘못이 있었는지 조사를 실사하자며 유럽 지도자들의 지지를 촉구, 중국과의 갈등이 시작됐다. 호주 정부는 무기검사관과 같은 권한을 글로벌 보건당국에 부여해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이 시작됐을 가능성이 있는 곳을 조사하자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중국을 믿을 수 없어서 독립적인 해외기관이 코로나19 팬데믹이 왜 일어났고 초기 대응에 무슨 문제가 있었는지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공중위생은 다른 모든 것에 우선한다”며 “우리는 정보와 투명성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그런 조사는 정치적 동기에 기인한 것이며 코로나19와의 전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반발하고 있다. 호주 주재 중국 대사인 청징예는 “호주산 쇠고기와 와인에 불매 운동이 일어나고 중국 유학생과 관광객이 찾지 않을 것”이라며 호주를 위협했다.

실제로 중국은 이번 주 전격적으로 호주 메이저 4대 도축장에서 나온 쇠고기 수입을 중단, 코로나19 책임론을 들고 나온 호주에 사실상 보복 조치를 가했다. 이들 도축장 4곳은 호주산 쇠고기 수출의 약 35%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호주의 농산물 대중 수출 주요 품목인 보리에 대해서도 이달 말 80%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코로나19 사태에 선전전을 펼치고 있지만 다른 나라들도 호주처럼 반중 정서가 강해지기는 마찬가지다. 중국에서 아프리카인을 상대로 인종차별적인 봉쇄 조치가 실시된 것에 대해 10여 개 아프리카 국가가 지난달 중국 대사를 초치, 항의했다. 인도에서는 중국 정부와 관련 있는 기업들이 코로나19로 경영난에 빠진 자국 기업을 무차별 인수할 것을 우려해 중국 자본에 대한 심사를 강화했다.

다른 국가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 한다. 호주와 마찬가지로 중국이 최대 무역 상대국인 일본은 공급망 다각화를 위해 22억 달러(약 2조7000억 원)이 예산을 배정했다.

그러나 호주는 자국 경제에 막강한 영향력을 지닌 중국에 대항하기가 쉽지 않다. 중국은 호주가 전 세계로 수출하는 상품의 4분의 1 이상을 소화한다. 지난해 호주와 중국의 교역액은 약 1520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호주는 선진국 중 가장 중국에 경제를 의존하는 국가라고 WSJ는 지적했다.

이는 호주에도 이익이었다. 호주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 경제 성장세를 이어간 것도 호주산 철광석과 석탄 등 광물자원과 농산물에 대한 중국의 왕성한 수요 덕분이었다.

2년 전부터 양국 관계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 호주 의회는 2018년 중국을 겨냥, 방첩 활동을 강화하고 외국 개입을 차단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더 나아가 올해는 미국과 유럽이 코로나19 기원에 대한 국제조사를 요구하면서 핵심 동맹국인 미국과 최대 무역 상대국인 중국 사이에서 중립을 유지하려는 호주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하지만 호주 경제는 코로나19 대책인 도시 봉쇄와 기업활동 중지 조치로 30여 년 만의 리세션(경기침체)이 예상돼 기업인을 중심으로 최근 대중 관계 악화가 잘못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호주 광산장비·미디어 재벌인 케리 스토크스는 “코로나19 대책으로 정부가 우리 생애 가장 큰 빚을 지려는 판국에 호주 최대 소득 원천인 중국의 눈을 찌르려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며 “우리는 무역입국이다. 무역 이외 아무것도 없다”고 강조했다.

의회를 중심으로 정부가 중국에 강경 자세를 유지하는 한편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경제구조 개혁을 추진, 대중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외교 전문가들은 호주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통상적인 외교의 차원을 넘어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 두 측면 모두에서 다른 나라에 영향력을 발휘하려는 중국의 시도가 성공할지 파악할 연구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