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루트 대폭발은 인재...“사법당국, 6년 전 질산암모늄 위험 경고 무시”

입력 2020-08-06 10:43수정 2020-08-06 14: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드론이 상공에서 찍은 레바논 베이루트 대폭발 현장 잔해. AP연합뉴스
레바논 정부가 4일(현지시간) 수도 베이루트 항구에서 일어난 대폭발 원인 규명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5일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레바논 정부는 이번 대폭발로 2주간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조사위원회를 출범시켜 폭발 원인으로 추정되는 화학물질 질산암모늄이 장기간 항구 창고에 보관되고 있던 경위 등을 조사하기로 했다.

하산 하마드 레바논 보건장관은 이번 대폭발 참사로 5일까지 135명이 죽고, 5000명가량이 다쳤다고 밝혔다. 또 수십 명이 실종됨에 따라 폭발 현장에서는 해가 지고 나서도 라이트 불빛에 의지해 구조 작업이 계속됐다. 마완 아부드 베이루트 주지사는 수도권에서 30만 명이 집을 잃었다며 피해액은 30억~50억 달러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폭발이 있었던 항구 창고에는 폭약의 원료인 질산암모늄 약 2750t이 6년 동안 보관돼 있었다고 한다. 미셸 아운 레바논 대통령은 5일 긴급 각료회의를 열고 비상사태 선언을 내리는 한편, 이 사이 군에 대해서는 질산암모늄 보관에 관련된 인물을 가택 연금하도록 지시했다. 또 조사위원회를 설치해 폭발 원인을 규명하고, 닷새 후 그 결과를 발표하기로 했다. 아운 대통령은 “최대한 빨리 조사를 실시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지를 밝혀 책임 있는 사람을 처벌하기로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블룸버그통신은 레바논 정부가 폭발 원인으로 보는 화학물질 질산암모늄에 대해 세관 당국이 일찍부터 위험을 경고했음에도 불구하고 항구 창고에서 6년간 보관돼 왔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전했다.

레바논 세관 당국 수장 바드리 다헤르가 쓴 2통의 서한에 따르면 2013년 말 질산암모늄이 화물로서 배로 항구에 도착했다. 항구 노동자들은 이유를 알지 못한 채 그 화물을 배에서 내려 창고로 옮겼다고 한다. 질산암모늄은 비료와 폭발물 생산에 사용되는 만큼, 세관은 사법 당국에 질산암모늄의 몰수 내지 재수출을 명령하도록 적어도 두 차례 요청했다. 2016년 5월 3일자 서한에서는 당시 세관 수장이 “부적당한 기상조건에 있는 창고에 질산암모늄을 보관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경고하고, “직원과 항구 양쪽에 위험하다고 지적했다”고도 한다.

그러나 이런 경고가 묵살되면서 6년 간 창고에 보관되다 결국 대참사가 일어난 것이다. FT는 대부분의 레바논 사람들은 엘리트 지배층 사이에 만연한 부패가 경제적 불안과 기능 부전을 야기했다고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일도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번 대참사로 레바논의 중요 식량 동맥인 베이루트 항구가 쑥대밭이 되면서 식량난이 불가피해졌다는 것이다. 이코노미스트들에 따르면 레바논 수입의 약 4분의 3이 이 베이루트 항구를 통해 들어온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레바논 통화인 레바논파운드 가치가 폭락하면서 인플레이션율이 약 56% 뛰었다며 올해 경제성장률은 12%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제이슨 터비 신흥국 전문 이코노미스트는 “아주 심각한 타격”이라며 “이미 나쁜 경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고 지적했다. 그는 올해 레바논 경제가 30% 마이너스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산 디아브 레바논 총리는 국제 사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이에 카타르에서 미국, 프랑스 등에 이르기까지 많은 국가들이 지원을 약속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6일 레바논을 방문하며,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위로 서한을 보내고 구조대를 파견키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