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과 재건축만 노후된 지역을 바꾸는 방법이 아닙니다. 도시재생도 하나의 대안이죠. 지역주민이 스스로 결정하고 사업의 주체가 된다는 점에서 지속가능성이 큰 모델입니다.”
양용택 서울시 재생정책기획관은 4일 도시재생의 의미를 이렇게 평가했다.
2014년에 시작해 ‘도시재생’이라는 모델을 서울에 적용한 지 5년이 지났다. 양 기획관은 시민들의 평가는 나뉘고 있지만 지역주민이 함께 고민하고 변화를 모색하는 문화를 만들었다는 점이 유산으로 남았다고 강조했다.
도시재생을 두고 갈등이 생기기도 하지만 서울시 입장에서는 재개발ㆍ재건축이 속 편안할 수 있다. 비교적 업무량이 적고 책임질 것도 많지 않다.
하지만 가치와 방향성을 고려하면 얘기가 달라진다. 도시재생은 낡은 지역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서울의 다양성과 지역 공동체를 지킬 방법이라는 것이 양 기획관의 설명이다. 공공의 의무와 책임감도 더 크다.
“재개발ㆍ재건축도 도시재생의 한 방법입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공동체가 갈등을 겪거나 와해되는 일이 발생했죠. 특정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가치도 훼손되고요. 그래서 주민이 지역을 바꾸는 방식을 도입한 겁니다. 주민 스스로가 변화를 주도하면 책임감을 느끼게 되고 공동체도 형성할 수 있죠. 더디더라도 방향성은 맞다고 판단했습니다.”
도시재생은 지역 고유의 문화를 지키려는 노력이 수반된다. 주민이 중심이 돼 문제점과 대안을 찾다 보니 지역별로 사업 방향도 다르다. 가령 역사문화 보존이 필요한 곳은 지역 명소화 사업을 실행하고, 노후된 시장에 지원이 필요한 지역은 시장 중심의 개선 지원, 홍보, 축제 등 연계사업 활성화를 지원하는 식이다.
물론 만족도에 대한 편차는 있다. 창신·숭인 지역은 주민들 사이에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차가 들어가지 못하는 골목도 많은 데다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 변화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 차라리 재개발·재건축을 원하는 주민들도 있다.
양 기획관도 이를 잘 알고 있으며 해결책을 모색 중이다.
“창신ㆍ숭인은 도시재생을 처음 시작하는 곳이라 욕심을 좀 부렸습니다. 83만㎡에 2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는데 민간이라면 이보다 10배는 더 들어가요. 광범위한 지역에 적은 예산으로 사업을 시작하니 만족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을 수밖에 없을 겁니다. 이 부분을 저희가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공식적인 재생사업이 마무리되더라도 추가 연계사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입니다.”
양 기획관은 도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강조했다.
“가치 있는 지역과 문화는 보존하면서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게 이상적인 방법입니다. 서울시는 이러한 가치를 살려 나가는 방법을 최대한 지원할 예정이고요. 내 고향처럼 느껴지도록 가치를 발굴해 재생시키겠습니다. 앞으로는 재생 효과가 나타날 곳을 중심으로 새로운 지역을 선정하는 동시에 기존 대상 지역에 역량을 집중해 성과가 나타나도록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