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6년은 세입자 거주권 보장해야"
임차인 보호 기존 정책 유지할 듯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내정자는 논란이 되고 있는 토지임대부 주택과 환매조건부 주택 도입과 관련해 “검토하는 단계”라고 밝혔다.
변 내정자는 7일 이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교수 시절부터 주장해온 토지임대부ㆍ환매조건부 주택 도입 여부에 대해 “아직까지 그런 역할(국토부 장관)을 맡은 건 아니어서 정확히 말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면서도 “(다만) 도입 여건 등을 보고 있다. 토지 공급이나 토지 배분, 도입 시기, 부작용 등을 검토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공공주택 공급 전문가로 알려진 변 내정자는 토지임대부ㆍ환매조건부 주택을 ‘공공자가주택’으로 정의하며 도입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해 왔다. 2007년 LH(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에 제출한 ‘공공자가주택의 이념적 근거와 정책효과 분석’ 논문에서 공공자가주택의 적극적 도입을 주장한 데 이어 2014년 공동 저자로 참여한 ‘민주 정부 10년, 무엇을 남겼나’에서도 제도 도입을 재차 역설했다.
환매조건부 주택의 경우 변 후보자가 LH 사장으로 부임한 이후 정부에 제도 도입을 적극 건의하기도 했다. 작년 8월 언론 간담회에선 환매조건부 주택을 도입해 3기 신도시 분양 때 적용하고 싶다며 “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국회와 국토부를 찾아다녔지만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아쉬움도 토로했다.
변 내정자가 토지공개념을 기반으로 개발이익 환수와 공공 주도의 주택 공급을 주장해 온 점이 부각되면서 장관 취임 후엔 반(反)시장적인 부동산 정책이 쏟아지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김현미 장관보다 더 센 장관이 왔다”는 비판이 나온 것도 이 때문이다.
그는 “공공임대주택은 공급 대책으로 불로소득을 걷어내 시장의 안정을 꾀하는 정책”이라며 “공공자가주택은 돈이 없는 사람은 못 들어가는 게 현실인 상황에서 최선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자기 집을 원하는 실수요자들에게는 임대주택만으로는 충족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공공자가주택이 논란의 중심에 선 것을 의식한 듯 “자가공공주택은 여러 정책 중 하나일 뿐”이라며 “이런 주택 정책만을 고집하는 것처럼 해석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주택 임차인 보호 정책에선 정책적 일관성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변 내정자는 임대차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의 정책 변화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그런 제도적인 부분은 말하기 어렵다”며 “현장에서 법 작동의 어려움과 부작용, 가용할 만한 수단 등 추가 또는 보완할 게 무엇인지 검토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임차인 보호 정책을 바꿀 상황은 아니다”라며 궤도 수정 가능성을 일축했다.
그간 변 내정자는 임차인에게 2년 임대 계약은 가혹하게 짧다고 주장해왔다. 존속 거주권을 보호하기 위해선 최소 6년의 거주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계약갱신청구권을 2회 보장해 ‘2+2+2’로 하거나, 임대차 기간을 3년으로 바꿔 계약갱신청구권을 한 번 주는 ‘3+3’ 방식을 주장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치솟은 집값을 누를 타개책에 대해선 “객관적인 여건 등 여러 가지 상황(요인)이 있다”며 “(다만) 심리적인 부분도 있어 그런 요인으로 인한 집값 상승은 최소화할 수 있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장관으로 취임할 경우 학자 시절 주장해왔던 정책적 신념을 수정할 가능성에 대해 묻자 “여건을 맞춰 봐야 한다”며 “한다, 안 한다 말할 수는 없다”고 말을 아꼈다.
변 내정자는 이날부터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준비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