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I 제품, 전 세계 70~80% 점유율...활용 분야도 넓어지는 추세
19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상무부의 제재로 DJI가 물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게 될뿐더러, 세계 드론 시장이 흔들릴 위협에 처했다고 전했다.
전날 미국 상무부는 DJI를 비롯해 중국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SMIC 등 중국 주요기업 77곳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했다. 상무부는 이들 기업의 기술이 중국 정부의 인권유린에 활용되고 있으며, 중국의 군사적 경쟁력 강화에 따른 위협이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윌버 로스 미국 상무부 장관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기업들은 모두 중국 인민해방군과 관련된 곳들”이라며 “중국이 미국 기술을 활용해 미국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군사활동을 지원할 수 없도록 하는 게 필요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DJI는 2017년 중국 신장시 공안과 경찰 무인 정찰기를 제공하는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블랙리스트에 포함됐다.
미국 드론 제조업체 스카이디오의 브렌단 그로브스 규제정책 담당자는 “DJI가 더 일찍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것이 놀랍다”며 “DJI는 지난 4년간 중국 정부가 신장에서 구축한 감시 시스템으로만 연간 수백만 달러를 벌었다”고 말했다.
DJI는 매출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업계에선 전 세계 상용 무인기의 70~80%를 DJI가 담당하는 것으로 추산한다. 특히 미국 내 판매량의 4분의 3을 책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DJI와 고객사들이 이번 제재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이는 이유는 제품 상당수가 미국 장비에 많이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DJI의 대표 상품인 ‘젠뮤즈XT’ 열 카메라 액세서리에는 미국 플리어에서 만든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고, 미니 드론 상품인 ‘스파크’는 인텔 프로세서를 채용하고 있다. 미국의 제재 발표에 플리어 측은 “정책이 변화함에 따라 이를 반영하기 위해 전략을 지속 조정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공장의 물품 배송과 농장의 소독제 살포 등 드론의 활용처가 더 다양해지는 상황이어서 해외 고객사들은 당장 새로운 구입처를 찾아야 하는 실정이다.
항공지도 소프트웨어 업체이자 DJI의 주요 고객사인 드론디플로이의 마이크 윈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의 5대 종자업체 중 4곳이 우리 회사에 의존해 수백 대의 드론을 농작물에 활용하고 있다”며 “시장의 혼란과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각에선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중국에 대해 비교적 완화적인 태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사전에 조처를 한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다만 바이든 당선인 역시 중국의 인권 침해만큼은 엄정하게 대응한다는 입장이어서 이번 블랙리스트 제재가 상당 기간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몇 달간 국가 안보 우려와 관련해 수십 개의 중국 기업을 처벌했다”며 “이번에는 중국의 신장 위구르 주민 인권 침해와 남중국해 영토 분쟁 등을 도운 기업들을 목록에 추가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