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간정보의 통합과 활용 체계 개선을 위한 1단계 사업이 완료됐다.
국토교통부는 클라우드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통합 및 융·복합 활용체계 구축 1단계 사업을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국가공간정보센터는 2009년 5월 설립 이래 45개 기관, 73개 정보시스템에서 생산되는 각종 국가공간정보를 수집해 제공하고 있다. 시스템 분산과 노후화 문제가 제기되자 국토부는 지난해부터 2022년까지 3단계에 걸쳐 공간정보 융·복합 활용 기반을 마련 중이다.
클라우드 기반의 국가공간정보 통합 플랫폼(K-GeoPlatform)은 표준화된 국가공간정보를 공급하게 된다. 시스템 통합과 데이터 표준화를 통한 국가공간정보의 통합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및 품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1단계 사업에서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광주센터와 대전센터로 분산된 전산 자원을 광주 G-클라우드로 통합했다. 필요한 전산 자원을 새롭게 도입해 운용 편의성과 안정성을 높였다.
시스템별로 산재돼 활용 중이던 외산 소프트웨어는 오픈소스 및 국산 소프트웨어 대체를 통해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국내기술 경쟁력을 강화했다.
국토정보시스템의 통계 테이블과,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에서 파일로 보관 중인 속성·도형정보 약 1960건은 표준화를 적용한 통합 DB로 구축했다. 공간정보 품질검사 및 생산기관의 오류정비 지원 체계를 마련했다.
공간정보 개발 플랫폼과 활용 서비스도 구축했다 3차원 지도상에서의 조망권 및 일조량 분석 등을 통한 정책지원 서비스 여건을 마련했다.
남영우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디지털 뉴딜 및 4차 산업혁명에 있어 국가공간정보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며 “클라우드 기반의 국가공간정보 융・복합 활용체계를 마련해 공유함으로써, 향후 5년간 약 900억 원(연간 약 180억 원)에 이르는 비용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