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인력 부족에 농민 인지도 낮아…속도 조절 필요성도 지적
정부가 농촌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올해 디지털 농업과 탄소중립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낮은 인식과 전문 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업무보고에서 농업 구조를 변화시켜 농촌을 한국판 뉴딜의 핵심 공간으로 재생시키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과제로 축산과 벼농사 분야에서의 저탄소 농업 구축과 스마트팜을 중심으로 한 농업의 디지털화를 제시했다.
농식품부는 '제2차 농업·농촌 분야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흡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목표와 과제를 제시할 예정이다.
축산에서는 축산 분뇨의 에너지화와 정화 처리를 확대하고, 저메탄 사료를 개발·보급해 가스 배출량을 줄인다. 벼농사는 온실가스 저감 농법을 개발해 보급하고 우수 농가에 인센티브를 줄 계획이다.
올해 완공되는 전국 4곳의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는 전문 인력과 청년농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생산성 향상 기술, 인공지능 기반 무인·자동화 기술 등 스마트팜 관련 연구개발(R&D)에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이 같은 정책이 제대로 운영되기에는 준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농업기관 관계자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벼농사 재배기술은 10년 전부터 꾸준히 개발되고 있지만 농민들이 이를 받아들여 보급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며 "기술 적용을 위해 초기 시설비를 들이는 것이나, 아직은 상대적으로 높은 운영 비용도 농업에 저탄소 기술을 적용하기 어렵게 한다"고 말했다.
고령화와 인구 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의 대안으로 최근 관심이 높은 스마트팜 도입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아직은 높은 초기 비용과 생산비용이 높아지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제대로 운영되지 못해 생산성이 낮은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여기에 관련 기술을 전해 줄 전문 인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한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여기저기 기술을 전수해줄 수 있는 제대로 된 스마트팜 관련 전문 인력은 연간 수 억 원의 수입을 얻을 수 있지만 전국에서 손꼽을 정도에 그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팜 산업이 정부가 아닌 민간이 주도해야 산업이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고 조언한다.
김영식 상명대 식물식품공학과 교수는 "당분간 관련 전문가는 부족한 상태겠지만 성공 사례가 계속 나온다면 우수 인력이 유입될 수 있다"며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 주도로 스마트팜 산업이 흘러가도록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결국 정책의 방향성은 맞지만 속도를 내기에 앞서 기반 인프라 조성과 농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분위기 조성 방안이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농가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실제 현장에서 어떤 점이 필요한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며 "공익직불제와 연계한 인센티브 지급 등도 방안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