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안보 관계자들과 미국인 개인정보 관리 방안 논의 중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는 14일 소식통을 인용해 “해당 협상은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었으며, 트럼프가 사라지면서 협상의 존재 이유도 함께 사라졌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바이트댄스는 현재 미국 국가안보 관계자들과 미국인의 개인정보 관리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틱톡의 미국 사업체 매각 행정명령을 내렸던 이유인 안보 위협을 해결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트럼프는 “중국 정부가 틱톡을 통해 미국 내 1억 명 사용자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서 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가한다”고 주장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주 “트럼프 전 정권의 중국 IT 기업 관련 정책을 광범위하게 재검토하겠다는 조 바이든 현 정부의 방침에 따라 틱톡 매각 행정명령 집행도 무기한 중단됐다”며 “틱톡의 데이터 관리를 믿을 수 있는 제3자에 맡기는 방안이 유력한 해결책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법무부는 18일까지 틱톡이 트럼프 전 정부의 행정명령에 반발해 제기한 소송에 대해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안보 위협을 이유로 지난해 8월 14일 바이트댄스에 대해 틱톡의 미국 내 사업체와 관련한 자산을 모두 매각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이후 바이트댄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열렬한 지지자인 래리 엘리슨 회장이 이끄는 오라클과 ‘틱톡 글로벌’을 출범시키기로 하고 지분 매각 협상을 이어왔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연임이 실패로 끝나고 나서 협상이 흐지부지됐다. 엘리슨 회장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패배 이후 틱톡 협상에 흥미를 잃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중국 정부는 틱톡 매각 협상과 관련해 두 가지 확실한 지침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첫째는 틱톡의 핵심 소프트웨어인 인공지능(AI)알고리즘을 당국의 허가 없이 수출할 수 없도록 조처한 것이며, 두 번째는 절대로 미국 정부에 무릎을 꿇는 것처럼 보이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틱톡이 미국 정권에 굴복하는 것처럼 비치면 다른 중국 회사들에 좋지 않은 선례를 남길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