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해도 절반 이상 '투잡'…소득 절반 수준으로 떨어져

입력 2021-02-28 0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농사만 지으면 4년 돼야 소득 3000만 원 넘어…10명 중 4명, 만족도 '그저 그래'

▲귀농·귀촌 박람회. (뉴시스)

귀농 인구 절반 이상이 귀농 이후 소득이 줄어들면서 농사가 아닌 다른 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1년 차 소득은 기존 소득의 절반 수준에 불과해 이를 위한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귀농·귀촌 실태조사'에 따르면 귀농 가구의 50.1%가 농업생산활동 외 경제활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사가 아닌 다른 경제활동을 하는 이유는 소득을 더 올리기 위해서라는 비중이 84.2%를 차지했다. 이들은 일반직장에 취업(26.6%)하거나 임시직(21.3%), 자영업(19.1%) 등을 했다.

실제 귀농 이후 소득은 귀농 전 소득에서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의 귀농 전 평균 가구소득은 4184만 원이지만 농사만 짓는 귀농 1년 차 가구 소득은 절반 수준인 2255만 원에 불과했다. 이후 4년이 지나야 3000만 원을 넘어섰다.

귀농에 대한 만족도도 높지는 않았다. 10가구 중 4가구는 '그저 그렇다'는 답변이 나왔다. 귀농 가구 중 33.1%는 만족도가 보통이라고 답했고, 4.6%는 불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불만족 이유로는 영농기술·경험 부족(33.6%), 자금 부족(31.2%)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

최근 귀농·귀촌 인구가 감소세를 보이는 것도 이 같은 어려움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귀농·귀촌 인구는 2015년 48만6638명, 2016년 49만6048명, 2017년 51만6817명으로 증가하다가 2018년 49만330명, 2019년 46만645명으로 다시 감소했다.

이에 정부는 귀농 실패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소득 부족을 보전하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새로 도입한다. 이 프로그램은 귀농·귀촌을 실행하기 전 도시민이 농촌에서 장기간 거주하면서 일자리, 생활을 체험하고 지역주민과 교류해봄으로써 성공적으로 농촌에 정착할 수 있게 유도하는 사업이다.

전체 89개 시·군에서 약 500개 가구를 지원할 계획이며 참가자에게는 최장 6개월의 주거와 연수 프로그램, 월 30만 원의 연수비를 지원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귀농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결국 정책을 실효성 있게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전익수 충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교수는 "소득은 귀농인들의 가장 큰 관심사지만 정부 정책이 귀농인 가구소득에 미치는 영향이 아직 크지 않다"며 "귀농인의 성공적인 정착을 돕고자 펼치는 다양한 정책들이 소득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귀농 정책을 점검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