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준위폐기물 영구 처리장 '제로'…월성 삼중수소 검출 사고위험 여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 지 올해로 10년이 된 가운데 원전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은 후쿠시마 사고를 계기로 그동안 도출한 안전조치 중 96%를 이행해 국내 원전의 안전성이 강화했다. 하지만 현재 포화상태인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와 원전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 등 풀어야 할 난제가 여전히 많다.
10일 원전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후쿠시마 사고를 교훈 삼아 최악의 상황에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출한 56건의 안전 개선사항 중 54건을 완료했다. 나머지 2건은 2024년까지 차질 없이 완료할 방침이다.
완료된 조치를 보면 국내 모든 원전에 ‘지진자동정지 설비’를 장착했다. 이 설비는 리히터 규모 6.5 이상의 지진이 감지되면 원자로를 자동으로 정지시켜 원전이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 원전부지고 기준 3m 높이의 해일을 가정해 비상전력계통 등 주요 설비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문도 모든 원전에 설치했다.
그러나 정부는 사용후핵연료를 포함한 방사성폐기물 영구적 처리나 저장할 방법을 여전히 찾지 못하고 있다. 사용후핵연료는 발전 사용을 다 한 우라늄을 말한다. 인체에 치명적인 방사선을 내뿜어 고준위 폐기물로 분류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고준위 폐기물 영구 처리장은 단 한 곳도 없다. 대신 원전 부지 안에 임시 저장시설을 갖추고 있다. 문제는 이 임시저장시설이 포화상태란 점이다. 당장 경주 월성 원전은 2021년에, 한빛원전 2026년, 고리원전 2027년이 되면 꽉 찬다. 국내 우리나라 원전 안에 보관된 사용후핵연료는 저장용량 52만 8716다발 중 47만 6729다발로 90.2%를 기록했다
현재 정부는 고준위 폐기물 영구 처리장 건설 계획을 수립한 상태지만 부지 선정에만 약 12년이 걸리고, 건설 기간이 30년이 소요돼 영구 처리장 건설은 사실상 기약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원전 사고 위험도 여전하다. 2019년 경북 경주 월성원전에서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가 검출된 사건이 대표적인 예다. 당시 1ℓ(리터)당 71만3000㏃(베크렐)의 삼중수소가 검출됐는데 이는 원자력안전위원회 관리기준인 4만㏃/ℓ를 뛰어넘는 수치다. 2017년에는 한빛 원전 4호기에서 격납건물철판 부식과 콘크리트 방호벽에 공동이 발생해 방호벽 부실시공 논란이 일기도 했다.
경주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이러한 사고들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정부에서 약속했던 여러 가지 안전 조치 사항들이 불량으로 밝혀진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