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30년간 기업이 부담할 탄소 부채 5경 원 추산
1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탄소 배출량에 따라 가격을 설정하고 투자 여부를 정하는 기업들이 전 세계 2000곳을 넘는다고 보도했다.
이들 기업은 탄소가격시스템(ICP)이라 불리는 체계를 적용하고 자체 배출량 가격을 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CP는 기업들이 각국 경제 수준과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예상 가격, 경쟁사 상황 등을 고려해 톤당 가격으로 매기는 방식이다.
ICP 설정액은 10달러에서 30달러가 가장 많았다. 가격이 비쌀수록 기업들이 탄소 배출에 엄격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부 기업은 그동안 자사 매출에 공헌이 큰 사업이더라도 탄소 배출량이 급증한 경우 투자를 멈추는 사례도 있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비영리단체 CDP에 따르면 전 세계 9526개 주요 기업 가운데 지난해 ICP를 도입한 기업은 853곳으로 전년 대비 20% 이상 늘었다. 2년 이내에 도입할 계획인 기업까지 더하면 총 2012곳에 달한다. 유럽이 661곳으로 가장 많은 가운데 북미와 일본도 각각 359곳, 252곳을 차지했다. 대기업 가운데는 세계 100여 개국의 사업 부문별 전력 소비에 따라 탄소 배출량 상한선을 정한 마이크로소프트(MS)가 눈에 띈다.
기업들의 탄소 중립 동참에 세계 각국 정부에서도 탄소세와 배출권 거래 등 가격을 책정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미 유럽연합(EU)의 배출권거래제도(ETS)에서는 배출량 가격이 최근 톤당 54유로(약 7만 원)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런 글로벌 정부 움직임에 따라 기업이 부담하게 될 이른바 '탄소 부채'가 30년간 총 4700조 엔(약 5경 원)에 이를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닛케이는 “투자자들도 기업을 판단할 때 ICP를 중시하고 있다”며 “주요 금융당국이 설립한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CFD)도 ICP 활용을 권장하고 있다”고 전했다.